반응형


Time-dependent variable의 정의 


Definition : 생존 분석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변수의 값이 바뀌는 변수를 time-dependent variable이라고한다. 


예 : 흡연 여부, 직장에서의 지위 등


Extended cox model : Time-dependent variable을 생존분석에서 사용하는 방법 


개념 : 만약 시간에 따라 변수의 값이 변화하는 변수가 있다면 extended cox model을 수행하여야한다. 


- 기존 데이터의 형태


ID
clinic
event
time
prison
dose
111428050
211275155
311262055
411183030
511259165
611714055

- Extended cox model을 위한 데이터의 형태


ID
clinic
prison
dose
ID2
start
time
event
110501070
1105017130
11050113170
11050117190
11050119260
11050126290

모든 time에 대해 데이터를 쪼개서 start와 time으로 정의한다. 하나의 row를 시간에 따라 쪼개므로 한 사람당 여러개의 row가 생기게 된다. 만약 해당 시간 내에서 event가 발생한 경우, event는 1이된다.


library(data.table)
library(survival)
data <- read.csv("addict.csv")

Extended cox model을 위한 데이터의 형태 만드는 법

data.cp <- survSplit(data, cut=data$time[data$event==1], end="time", event="event", start="start", id="ID2")

만약 아래와 같이 logdose라는 time-dependent variable이 있다고 하면 

data.cp$logdose <- data.cp$dose * log(data.cp$time)

Extended cox model 은 아래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Y = Surv(data.cp$start, data.cp$time, data.cp$event) coxph(Y ~ clinic + logdose +prison+ cluster(ID2), data=data.cp)


Time-dependent variable의 활용 1 : PH (proportional hazard) Assumption check


개념 : PH Assumption에 위반이 되는 것이 의심되는 변수가 있을 때, 이 변수에 대한 time-dependent variable을 정의함으로서 PH 가정을 체크할 수 있다. 


ID
clinic
event
time
prison
dose
111428050
211275155
311262055
411183030
511259165
6117140

55

만약에 위와 같은 데이터에 대해서 dose에 대해 PH Assumption 가정이 위반된다고 해보자. 즉, 이말은 시간에 따라 dose의 hazard ratio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를 테스트하기위해 dose*g(t)라는 새로운 변수를 정의하고 이 변수의 계수가 유의한지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해당 변수에 대한 PH Assumption을 체크할 수가 있다. 


Y = Surv(data.cp$start, data.cp$time, data.cp$event)
coxph(Y ~ clinic + dose + logdose +prison+ cluster(ID2), data=data.cp)
Call:
coxph(formula = Y ~ clinic + dose + logdose + prison + cluster(ID2), 
    data = data.cp)

            coef exp(coef) se(coef) robust se     z       p
clinic  -1.01988   0.36064  0.21542   0.23637 -4.31 1.6e-05
dose    -0.08262   0.92070  0.03598   0.02960 -2.79  0.0053
logdose  0.00862   1.00865  0.00645   0.00525  1.64  0.1007
prison   0.34063   1.40584  0.16747   0.15972  2.13  0.0329

Likelihood ratio test=66.35  on 4 df, p=1e-13
n= 18708, number of events= 150 
   (1379 observations deleted due to missingness)


위 결과에서 logdose의 p-value > 0.05이므로, dose가 PH Assumption을 만족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위 방법은 Wald test를 한 것이며, 다른 방법으로는 Likelihood ratio test를 통해 p-value를 구할 수도 있다. 


Likelihood ratio test

Y = Surv(data.cp$start, data.cp$time, data.cp$event)
mod1 <- coxph(Y ~ clinic + dose + logdose +prison+ cluster(ID2), data=data.cp)
mod2 <- coxph(Y ~ clinic + dose +prison+ cluster(ID2), data=data.cp)

print(mod1$loglik[2])
print(mod2$loglik[2])

LRT <- (-2) * (mod2$loglik[2]-mod1$loglik[2])
pvalue <- 1 - pchisq(LRT, 2) 

이는 logdose를 포함한 full model과 logdose를 포함하지 않은 restricted model의 likelihood ratio를 구하고 이것이 카이제곱 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이용한 검정이다. p-value를 계산한 결과 0.4 정도로 위의 wald test와 마찬가지로 logdose는 의 계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dose에 대해 PH Assumption이 어긋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Time-dependent variable의 활용 2 : PH Assumption 만족 안하는 경우,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Hazard ratio 모델링


개념 : 어떤 변수에 대하여 heavy side function을 이용한 time-dependent variable을 정의함으로서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hazard ratio를 모델링할 수 있다. 



heavy side function은 어떤 값을 기준으로 그 이상일 때는 1, 미만일 때는 0을 돌려주는 함수를 말한다. 


예제 : 만약 clinic에 대해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HR을 모델링 하고 싶다고 해보자. 


fit <- survfit(Surv(data$time, data$event)~data$clinic)
plot(fit)

이것이 clinic=1과 clinic=2일 때 각각 그린 카플란 마이어 생존함수 추정값이다. 위 그림에서 hazard ratio가 시간에 따라 바뀐다는 것이 의심스러울 수 있다. 이 때,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heavy side function을 이용한 time-dependent variable을 정의함으로써 이를 모델링할 수 있다. 


365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쪼갠다. 

data.cp365 <- survSplit(data, cut=365, end="time", event="event", start="start", id="ID2")
ID
clinic
prison
dose
ID2
start
time
event
11050103650
1105013654281
21155202751
31055302621
41030401831
51165502591
data.cp365$hv1 <- data.cp365$clinic * (data.cp365$start < 365)
data.cp365$hv2 <- data.cp365$clinic * (data.cp365$start >= 365)

위와 같이 두 개의 heavy side function을 원래 clinic의 값에 곱해준 것을 두 개의 변수로 정의한다.  


ID
clinic
prison
dose
ID2
start
time
event
hv1
hv2
1105010365010
110501365428101
2115520275110
3105530262110
4103040183110
5116550259110
6105560365010
610556365714101

Extended cox model

Y365 <- Surv(data.cp365$start, data.cp365$time, data.cp365$event)
coxph(Y365 ~ dose + hv2 + hv1 + prison + cluster(ID2), data=data.cp365)


Call:
coxph(formula = Y365 ~ dose + hv2 + hv1 + prison + cluster(ID2), 
    data = data.cp365)

           coef exp(coef) se(coef) robust se     z       p
dose   -0.03548   0.96514  0.00643   0.00652 -5.44 5.3e-08
hv2    -1.83052   0.16033  0.38595   0.39838 -4.59 4.3e-06
hv1    -0.45937   0.63168  0.25529   0.25998 -1.77   0.077
prison  0.37795   1.45929  0.16841   0.16765  2.25   0.024

Likelihood ratio test=74.25  on 4 df, p=3e-15
n= 360, number of events= 150 


이 때 결과를 보면 hv1의 HR은 0.63, hv2의 HR은 0.16이다. 이 말은 clinic 1과 clinic2의 hazard ratio가 365미만에서는 0.63이었는데, 365 이상에서는 0.16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즉, 두 clinic에서 보이는 생존률에 대한 경향성이 시간이 지날 수록 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위의 카플란 마이서 생존곡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