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두 정규분포 모양의 모집단의 모평균의 차이에 대한 검정: Two sample t-test 


예를 들어, 서울사람과 부산사람의 몸무게의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검정하고자 한다. 이럴 때 흔히 쓸 수 있는 방법이 바로 two sample t-test 방법이다.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여 차이가 유의한지를 보는 방법이다. 우선 언제 t-test 를 할 수 있는지 정리해보자.


t-test 는 연속형 확률 변수이고 평균이 mu 이고 표준편차가 sigma 인 분포를 갖는 모집단으로부터 n 개의 표본을 추출했을 때, n 이 크면 클 수록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표본 평균이 평균이 mu 이고, 표준편차가 sigma/root(n) 인 정규분포에 근사된다는 사실을 이용한 방법이다. 따라서 t-test 의 가정은 아래 두 가지로 요약된다. 


t-test 의 가정


1. 연속형 변수 

2. 정규성

3. 임의추출 

4. 큰 샘플 사이즈 


변수가 연속형이어야하고 임의추출을 해야한다는것은 당연해 보이지만, t-test 에서 왜 정규성을 따라야할까? 처음 t-test 를 배울 때, 많이 질문하는 부분이 't-test 는 샘플이 정규분포를 따라야하나요?' 이다. 결론은 '정규분포를 따르면 좋다.' 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표본 크기가 크면, 어쨌든 표본 평균의 분포는 정규분포에 근사되기 때문에 t-test 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평균이 대표성을 갖는가이다. 그리고 평균이 대표성을 갖기 위해서는 정규분포와 같은 모양이어야한다. 따라서 모평균을 비교하는 문제에 있어서, 모집단이 정규 분포와 비슷해야 타당한 것인데 모집단이 정규 분포임을 확인하는 방법은 샘플의 분포를 이용하는 길밖에 없다. 따라서 샘플의 정규성을 확인함으로써 평균이 대표성을 갖는지 확인해야한다. 만약 샘플이 정규성을 보이지 않는다면, t-test 의 타당성이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모집단의 분포가 이항분포나 포아송 분포처럼 특정 상황에서 정규분포로 근사된다면, t-test 의 결과는 타당할 것이다. 하지만 정규성을 띄지 않는 분포에서 왔다면, t-test 보다는 비모수 검정이 더 적합하다. 왜냐하면 평균이 대표성을 띄지 않기 때문이다. 


Two sample t-test 의 종류



More about the basic assumptions of t-test: normality and sample size, statistical round, 2019


위 그림은 mu1-mu2 의 분포를 H0가 참일때와 H1 이 참일 때로 나누어서 보여주는 그림이다. 1종 오류와 2종 오류의 개념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는 그림이다. two sample t-test 에 개념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보자. 두 집단의 모평균 (mu1, mu2) 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는 two-sample t-test 는 아래의 분포를 이용해 검정한다. 


$$ \tilde X - \tilde Y \sim N(\mu_1, \mu_2, \frac{s^2_1}{n_1} + \frac{s^2_2}{n_2}) $$ 


H0가 참일 때 (mu1-mu2=0) 검정 통계량은 표본 분산을 이용해 아래와 같은 분포를 갖는다.


$$ \frac{\tilde X - \tilde Y}{\sqrt{\frac{s^2_1}{n_1}+\frac{s^2_2}{n_2}}} ... 식 1 $$


위 검정 통계량이 특정한 자유도를 갖는 t 분포를 갖는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검정하는 것인데, t 분포의 자유도는 두 그룹의 분산에 대한 가정에 따라 다르기 계산된다.


1. 등분산 가정 (합동분산 추정량을 이용한 t-test)


합동분산추정량은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 s^2_p = \frac{n_1-1}{(n_1-1)+(n_2+1)}s^2_1 + \frac{n_2-1}{(n_1-1)+(n_2+1)}s^2_2 = \frac{(n_1-1)s^2_1 + (n_2-1)s^2_2}{n_1+n_2-2} $$ 


이 합동분산 추정량을 위 식1 의 s_1, s_2 대신에 넣으면 검정통계량을 계산할 수 있고, 이 검정통계량은 자유도가 n_1+n_2-2 인 t 분포를 따른다. 식 1을 합동 분산 추정량을 통해 쉽게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frac{\tilde X - \tilde Y}{\sqrt{s^2_p(\frac{1}{n_1}+\frac{1}{n_2})}} \sim t(n_1+n_2-2) $$


2. 등분산 가정을 하지 않을 때 (Welch's t-test)


등분산 가정을 하지 않으면 위 식1을 그대로 계산하면 된다. 다만, 자유도의 계산이 다소 복잡하다. 이 방법을 Welch's t-test 라 하는데 이 방법에 따라 자유도를 유도하는 것은 어려운 부분이므로, 단지 이렇게 계산한다는 것만 알고 넘어가도록 하자. Welch's t-test 에서 자유도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 v=\frac{(s^2_1/n_1 + s^2_2/n_2)^2}{\frac{(s^2_1/n_1)^2}{n_1-1} + \frac{(s^2_2/n_2)^2}{n_2-1}} $$


즉, Welch's t-test 는 다음의 분포를 통해 검정한다. 


$$ \frac{\tilde X - \tilde Y}{\sqrt{\frac{s^2_1}{n_1}+\frac{s^2_2}{n_2}}} \sim t(v) $$



1, 2 두 방법 모두 표본수가 많다면 정규근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t분포를 이용하지 않고 표본 수가 많을 때, 검정 통계량이 표준정규분포를 근사적으로 따른 다는 사실을 통해 검정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