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as Mnist Learning Using Multi Layer Perceptron
작성자 : 3개월
날짜 : 2017.1.20
코드하이라이터 : http://markup.su/highlighter/
*/
1. 데이터 읽기
import cPickle, gzip, numpy # Load the dataset f = gzip.open('mnist.pkl.gz', 'rb') train_set, valid_set, test_set = cPickle.load(f) f.close()
mnist.pkl.gz는
https://github.com/mnielsen/neural-networks-and-deep-learning/blob/master/data/mnist.pkl.gz
에서 다운로드 후 코드와 같은 폴더에 붙여 넣으시면 됩니다.
cPickle.load(f)를 하면 train_set, valid_set, test_set이 알아서 나뉘어집니다.
# train_set 은 튜플로 두 개의 ndsarray를 원소로 가지고 있음 print train_set print type(train_set) print len(train_set) # 튜플을 이렇게 둘로 나눌 수 있음 X_train, y_train = train_set X_test, y_test = test_set print type(X_train) print len(X_train) print len(y_train) print X_train print y_train
train_set을 위와 같이 X_train, y_train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train_set은 2개의 원소(X, Y)를 갖고 있는 '튜플' 인데 튜플인 경우 저러한 문법이 가능합니다.
2. Multi Layer Perceptron 구현
CNN을 활용하기 전에 Multi Layer Perceptrons을 이용하여 데이터셋을 러닝해봅니다. universal approximation theorem에 의해 사실 이 MLP로도 이미지 classification을 포함한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데이터가 부족할뿐)
# multi-layer perceptron import numpy from keras.datasets import mnist from keras.models import Sequential from keras.layers import Dense from keras.layers import Dropout from keras.utils import np_utils
패키지를 임포트합니다.
seed = 7 numpy.random.seed(seed)
계속 실행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갖기 위해 numpy random seed를 설정해줍니다.
print type(X_train) print type(y_train)
타입은 두 개 모두 ndarray입니다. X_train은 784*50000 2차원 배열, y_train은 길이가 50000인 1차원 배열입니다. 784는 MNIST 데이터가 28*28 =784 픽셀 흑백 손글씨 이미지이기 때문에 나온 숫자이고 이를 일렬로 쭉 늘어놓은 것입니다. 또한 50000은 데이터의 갯수입니다.
# normalize inputs from 0-255 to 0-1 X_train = X_train / 255 X_test = X_test / 255
흑백 이미지 데이터는 픽셀 하나당 0-255까지의 숫자값을 가지므로 이를 255로 나누면 0-1 사이로 normalize됩니다.
# one hot encode outputs y_train = np_utils.to_categorical(y_train) y_test = np_utils.to_categorical(y_test) # y_test 의 column을 클래스의 갯수 지정 : 10개 num_classes = y_test.shape[1] num_pixels = X_train.shape[1]
위와 같이 y 값들을 one hot encoding 합니다.
또 아래 MLP 모델을 구축할 때 쓰는 변수들 num_classes, num_pixels를 정의합니다.
# define baseline model def baseline_model(): # create model model = Sequential() model.add(Dense(num_pixels, input_dim=num_pixels, init='normal', activation='relu')) model.add(Dense(num_classes, init='normal', activation='softmax')) # Compile model model.compile(loss='categorical_crossentropy', optimizer='adam', metrics=['accuracy']) return model def good_model(): # create model model = Sequential() model.add(Dense(400, input_dim=num_pixels, init='normal', activation='relu')) model.add(Dense(100, init='normal', activation='relu')) model.add(Dense(num_classes, init='normal', activation='softmax')) # Compile model model.compile(loss='categorical_crossentropy', optimizer='adam', metrics=['accuracy']) return model
위와 같이 두 개의 MLP를 만들었습니다.
baseline_model은 히든 레이어가 한 개인 네트워크이고, good_model은 히든 레이어가 두 개인 네트워크입니다.
- keras의 경우 input layer는 생략하며 첫 번째 히든 레이어에 "input_dim=인풋 레이어의 노드 수"를 지정하는 식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합니다.
- 히든 레이어가 많고, 한 레이어당 노드 수가 적을 수록 overfitting이 적어져 generalization이 잘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데이터를 통해 위 두 개의 네트워크를 훈련하고 테스트해보겠습니다.
3. Training & Test
히든 레이어 한 개짜리 MLP
# build the model model = baseline_model() # Fit the model model.fit(X_train, y_train, validation_data=(X_test, y_test), nb_epoch=10, batch_size=200, verbose=2) # Final evaluation of the model scores = model.evaluate(X_test, y_test, verbose=0) print("Baseline Error: %.2f%%" % (100-scores[1]*100))
첫 번째 모델인 baseline_model을 train하고 test하는 코드입니다.
validation set은 test set으로 대체하였습니다.
실행시 아래와 같이 10번 epoch을 돌면서, training accuracy, loss와 validation accuracy, loss를 출력합니다.
error는 validation accuracy를 기준으로하며 (1-0.9232)*100 = 7.68% 입니다.
히든 레이어 두 개짜리 MLP (더 Deep 한 모델)
# build the model model2 = good_model() # Fit the model model2.fit(X_train, y_train, validation_data=(X_test, y_test), nb_epoch=10, batch_size=200, verbose=2) # Final evaluation of the model scores = model2.evaluate(X_test, y_test, verbose=0) print("Baseline Error: %.2f%%" % (100-scores[1]*100))
두 번째 모델인 good_model을 기준으로 training 과 test를 합니다.
위와 같이 Error가 7.54%로 첫 번째 네트워크보다 accuracy가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결론
MLP로 MNIST 데이터를 training하고 test 해보았습니다. MNIST와 같이 이미지 사이즈가 작고 흑백인 이미지에는 MLP도 꽤 괜찮은 accuracy를 내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지의 사이즈가 커지고 class의 갯수가 많아질 수록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과 같은 이미지 처리에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쓰는 것이 훨씬 효율적일 것입니다. 또한 training할 때 layer와 갯수와 layer당 node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통 이 사이즈는 try & error로 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training 해본 경험이 많다면 어느정도의 layer와 node수를 선택해야하는지에 대해 어느정도 직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Tools > Ker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ras와 Tensorflow 사용할 때 유용한 아나콘다 가상환경 (0) | 2017.07.01 |
---|---|
Keras - Backend 설정하기 (Theano, Tensorflow) (2) | 2017.07.01 |
Keras - MNIST 데이터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raining (0) | 2017.01.22 |
Keras (with Theano Backend) 설치 (0) | 2016.11.09 |
Keras로 Deep Neural Network시작하기 (0) | 2016.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