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cience/AI (1)

반응형

 

기본적인 RAG 를 좀 더 개선해보기 (w/ langchain)

 

기본 RAG 의 개념 : 기본 RAG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는 query 를 입력으로 받아 vector store 로부터 relevant 한 chunk 를 검색해서 가져온 후, 이를 prompt 에 추가해서 최종적인 답변을 출력한다.

 

사용된 개념

1. Relevance Check : vector store 에서 retrive 해온 chunk 가 relevant 한지 LLM 을 활용해서 검증한다.

2. Hallucination Check  : retrieved chunk 를 참고해서 생성한 최종 답변이 hallucination 인지 여부를 LLM 을 활용해서 검증한다. 

 

RAG 를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langchain 을 사용한다. (비슷한 역할을 하는 Llamaindex 라는 프레임워크도 있다.)

 

목적: 3가지 웹문서를 vector store 로 저장하고, 이에 기반해 사용자 질문에 답변하는 RAG 를 만든다.

 

1.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pip install langchain langchain-openai langchain-openai langchain_chroma langchain-text-splitters langchain_community

 

2. LLM 객체 생성

import getpass
import os

os.environ["OPENAI_API_KEY"] = "API_KEY 를 입력하세요."
from langchain_openai import ChatOpenAI

# openai의 gpt-4o-mini 모델 사용
llm = ChatOpenAI(model="gpt-4o-mini")

 

3. 문서를 로드한다.

- langchain 의 WebBaseLoader를 활용하며, beautiful soup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html 태그 등을 parsing 해 본문 내용만 가져온다고 이해하면된다. 

import bs4
from langchain import hub
from langchain_chroma import Chroma
from langchain_community.document_loaders import WebBaseLoader
from langchain_core.output_parsers import StrOutputParser
from langchain_core.runnables import RunnablePassthrough
from langchain_openai import OpenAIEmbeddings
from langchain_text_splitters import 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

urls = [
    "https://lilianweng.github.io/posts/2023-06-23-agent/",
    "https://lilianweng.github.io/posts/2023-03-15-prompt-engineering/",
    "https://lilianweng.github.io/posts/2023-10-25-adv-attack-llm/",
]

# Load, chunk and index the contents of the blog.
loader = WebBaseLoader(
    web_paths=urls,
    bs_kwargs=dict(
        parse_only=bs4.SoupStrainer(
            class_=("post-content", "post-title", "post-header")
        )
    ),
)
docs = loader.load()

 

4. 로드한 문서를 Split 해서 Vector store 로 저장한다.

- chunk size 는 1000  토큰이며, 200의 오버랩을 허용한다. 각 청크간에 약간의 중복을 준다는 의미이다. 

- chunk 를 vector 로 저장할 때, embedding 이 필요한데, openai 의 text-embedding-3-small 모델을 사용했다.

- retrieval 의 세팅으로 similarity 를 기준으로 6개의 chunk 를 가져오는 retrieval 객체를 정의한다. 

text_splitter = 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chunk_size=1000, chunk_overlap=200)
splits = text_splitter.split_documents(docs)
vectorstore = Chroma.from_documents(documents=splits, embedding=OpenAIEmbeddings(model="text-embedding-3-small"))
# Retrieve and generate using the relevant snippets of the blog.
retriever = vectorstore.as_retriever(search_type="similarity", search_kwargs={'k':6})

 

5. user query 를 입력으로 받아 관련도가 높은 chunk 를 retrieve 해온다.

- 가져온 chunk 6개를 1번 chunk : ... 2번 chunk : ... 이런 형식으로 텍스트 형식으로 저장한다. 

from langchain_core.output_parsers import JsonOutputParser
from langchain_core.prompts import PromptTemplate
from langchain import hub
from langchain_core.output_parsers import StrOutputParser
from langchain_core.runnables import RunnablePassthrough
from langchain_core.output_parsers import JsonOutputParser
from langchain_core.prompts import PromptTemplate
from langchain_openai import ChatOpenAI

prompt = hub.pull("rlm/rag-prompt")

user_query = "What is agent memory?"
retrieved_docs = retriever.invoke("what is agent memory?")
retrieved_docs_text = ""
for i in range(0,6) :
    doc_content = retrieved_docs[i].page_content
    retrieved_docs_text += f'{i+1}번 chunk: {doc_content}\n'

 

6. 목적에 맞는 최종 prompt 를 작성한다.

- relevance check 와 hallucination check 를 하여 기본 RAG 를 좀 더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에 대한 로직을 추가한 프롬프트를 작성한다. 전체적인 답변 생성 로직과 함께 필요한 정보 - 유저 query 와 retrieved chunk 를 제공해주어야한다. 

query = {"question": {f"""
     너는 유저로부터 query 를 입력 받아서 최종적인 답변을 해주는 시스템이야.

     그런데, retrieval 된 결과를 본 후에, relevance 가 있는 retrieved chunk 만을 참고해서 최종적인 답변을 해줄거야.
     아래 step 대로 수행한 후에 최종적인 답변을 출력해.

     Step1) retrieved chunk 를 보고 관련이 있으면 각각의 청크 번호별로 relevance: yes 관련이 없으면 relevance: no 의 형식으로 json 방식으로 출력해.\n
     Step2) 만약 모든 chunk 가 relevance 가 no 인 경우에, relevant chunk 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프로그램을 종료해.
     Step3) 만약 하나 이상의 chunk 가 relevance 가 yes 인 경우에, 그 chunk들만 참고해서 답변을 생성해.
     Step4) 최종 답변에 hallucination 이 있었는지를 평가하고 만약, 있었다면 hallucination : yes 라고 출력해. 없다면 hallucination : no 라고 출력해.
     Step5) 만약 hallucination : no 인 경우에, Step3로 돌아가서 답변을 다시 생성해. 이 과정은 딱 1번만 실행해 무한루프가 돌지 않도록.
     Step6) 지금까지의 정보를 종합해서 최종적인 답변을 생성해

     답변은 각 스텝별로 상세하게 출력해

     아래는 user query 와 retrieved chunk 에 대한 정보야.

     query : {user_query}\n
     retrieved chunks: {retrieved_docs_text}"""}}

 

7. Prompt Template 을 기반으로 RAG Chain 을 호출해 최종 답변을 json 형식으로 출력한다.

- prompt template 은 프롬프트를 구조화된 형식으로 작성할 수 있게 도와주는 클래스이다. 

- rag chain 은 query-> prompt -> llm -> output 파이프라인을 하나의 함수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parser = JsonOutputParser()

prompt = PromptTemplate(
    template="Answer the user query.\n{format_instructions}\n{query}\n",
    input_variables=["query"],
    partial_variables={"format_instructions": parser.get_format_instructions()},
)

rag_chain = (
    prompt
    | llm
    | StrOutputParser()
)

rag_chain.invoke({"query": query})

 

최종적으로 생성된 답변

json\n{\n  "step1": {\n    "1": "relevance: yes",\n    "2": "relevance: yes",\n    "3": "relevance: yes",\n    "4": "relevance: yes",\n    "5": "relevance: no",\n    "6": "relevance: no"\n  },\n  "step2": "All retrieved chunks have relevance.",\n  "step3": "The relevant chunks provide information about agent memory, which consists of both long-term and short-term memory. Agent memory is a long-term memory module that records agents\' experiences in natural language. Observations can trigger new statements, and the retrieval model assists in informing the agent’s behavior based on relevance, recency, and importance. Additionally, the reflection mechanism synthesizes these memories into higher-level inferences over time.",\n  "step4": "hallucination: no",\n  "step5": "Since hallucination is no, I will generate the answer again.",\n  "step6": {\n    "final_answer": "Agent memory refers to a long-term memory module that captures a comprehensive list of an agent\'s experiences in natural language, which can be used to inform the agent\'s behavior. It includes short-term aspects, such as in-context learning, as well as long-term memory that retains information over extended periods. The retrieval model helps prioritize memories based on relevance, recency, and importance, while the reflection mechanism synthesizes past events into higher-level insights that guide future behavior."\n  }\n}\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