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ilcoxon Signed Rank Test는 일표본에 대하여 중위수를 검정하는데에 쓰인다. 또는 paired 된 데이터의 중위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는데 쓰인다. 모수적 방법에서 일표본 t-test와 같은 목적으로 쓰인다.


표본이 176.9, 158.3, 152.1, 158.8, 172.4, 169.8, 159.7, 162.7, 156.6, 174.5, 184,4, 165.2, 147,8, 177.8, 160.1, 160.5 라고 하자.


H0 : 중위수 = 160 vs H1 : 중위수 != 160 를 검정하도록 해보자.


우선 | Xi - 160 | 을 오름차순으로 차례대로 줄 세운다.


0.1, 0.3, 0.5, 1.2, 1.7, 2.7, 3.4, 5.2, 7.9, 9.8, 12.2, 12.4, 14.5, 16.9, 17.8, 24.4


그러고 나서, Xi-160 < 0 인 데이터에 대해서는 표시를 해놓는다. 그리고 부호순위를 모두 더한다. 밑줄친 부분에 대한 순위는 음수로 계산한다.


W = 1-2+3-4-5+6-7+8-9+10-11+12+13+14+15+16 = 60


만약 W의 값이 너무 크거나 너무 작으면 중위수가 160이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하게 된다. 그러면 그 값이 유의하게 큰지 작은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선 우선 H0하에서 W의 분포를 알아야한다. 하지만 실제로 W의 분포를 알기는 매우 어렵고 복잡하다. 이 때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W통계량의 평균은 0, 분산은 n(n+1)(2n+1)/6 이라는 것이다. (H0하에서 중위수의 성질을 이용해 평균과 분산을 구할 수 있다.) 이 값들로 중심극한정리를 사용하여 W의 분포를 정규분포로 근사시킨다. 이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W가 어떠한 분포를 갖는 값들의 합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 경우에 H0하에서 위 식의 첫번째 term은 1/2 확률로 1, 1/2 확률로 -1/2 이다. 두 번째 term은 1/2확률로 2, 1/2 확률로 -2이다. 이 값들을 모두 합친 W 통계량은 종모양의 분포가 나올 것이다. 그러므로 중심극한 정리를 적용시킬 수 있다.


n=16이므로, W를 표준화 시키면 Z = 60-0/sqrt((16)(17)(33/6)) = 1.525 이다.


양쪽 검정이므로 유의수준 0.05에서 기각역은 Z>1.96 or Z<-1.96이다. 계산한 z값이 기각역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중위수가 160이 아니라는 유의한 증거가 없으므로 H0를 기각하지 못한다. 또한 p-value = 2*P[z > 1.525] 이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