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cience (98)

반응형

벅슨의 역설 (Berkson's Paradox)


벅슨의 역설은 병원 기반 데이터로 case-control 연구를 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1946년 Joseph Berkson이 보고한 역설입니다. 


벅슨의 역설이 생기는 이유


A와 B 둘다 있는 사람이나, A와 B 둘다 없는 사람이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을 때, A-B 간의 가짜 관계가 생깁니다. 벅슨의 역설을 병원 기반 데이터로 보여줄 때는 주로, A, B 둘다 없는 사람이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간단한 예


이 예를 통해 전혀 상관 없어보이는 두 가지 질병, 인플루엔자와 맹장염의 가짜 연관성(spurious association)이 어떻게 생기는지를 보입니다. (이미지 출처)


우선, 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100명이라고 했을 때 다음과 같이 가정합니다.


1. 전체 인구집단에서 인플루엔자의 유병률은 10% 이다.

2. 병원에 온 사람 중 인플루엔자로 입원한 사람은 30%이다.

3. 병원에 온 사람 중 맹장염으로 입원한 사람은 10%이다. 

4. 인플루엔자와 맹장염은 독립적이다. 즉, 맹장염으로 입원한 사람중 10%가 인플루엔자를 가졌다고 가정. (맹장염의 유병률이 매우 낮다고 가정) 




(파란색=인플루엔자, 빨간색=맹장염, 검은색=기타, 빨간색+파란색=인플루엔자, 맹장염을 동시에 가진 사람)


이 상황에서 인플루엔자 따른 맹장염의 발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인플루엔자를 가진사람과 안 가진 사람으로 나뉘어 맹장염에 걸린 사람을 나눠봅니다. 총 30명의 인플루엔자를 가진 사람 중  1명이 맹장염에 걸렸습니다. 총 70명의 인플루엔자를 안 가진 사람중 9명이 맹장염에 걸렸습니다. 



위 노란박스는 70명의 인플루엔자를 안 가진 사람 중 9명이 맹장염에 걸린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 때, 인플루엔자를 기준으로 한 맹장염의 상대위험도는 (1/30)/(9/70) = 0.004 로 인플루엔자가 맹장염에 보호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옵니다. 이 때, 이런 가짜 연관성이 생긴 이유는 병원 데이터의 특성 때문입니다. 즉, 인플루엔자와 맹장염이 둘 다 없는 사람이 일반 인구집단과 비교하여 더 적기 때문에, 인플루엔자가 없는 사람 중 맹장염에 걸린 사람이 9/70 = 12% 로 과추정되었습니다. 


참고

http://www.statisticshowto.com/berksons-paradox-definition/

반응형
반응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반응변수가 1 또는 0인 이진형 변수에서 쓰이는 회귀분석 방법입니다. 종속변수에 로짓변환을 실시하기 때문에 로지스틱 회귀분석이라고 불립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좋은점은 우선 계수가 Log Odds ratio가 되기 때문에 해석이 매우 편리하고, case-control과 같이 반응 변수에 따라 샘플링된 데이터에 대해서 편의(bias)가 없는 타당한 계수 추정치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려고합니다. 



1.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원리


반응변수(y)가 1/0인 상황에서 마치 선형 회귀분석처럼 아래의 식에서 계수를 추정한다고 해봅시다. 


$$ y = \beta_0 + \beta X $$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보통 우리가 예측하고자 하는 y의 "예측값"이 P[Y=1] 이라는 믿음을 갖는데, 그러면, y의 예측값은 0-1사이로 고정이 되어야합니다. 하지만 위 식의 경우 특정 X 값에서는 y의 예측값이 0-1 사이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0보다 작아질 수도 있고, 1보다 커질 수도 있습니다. 


즉, 좌변의 범위는 0-1이며 우변의 범위는 마이너스 무한대에서 플러스 무한대의 값을 갖게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반응 변수 대한 로짓 변환을 실시합니다. 로짓변환은 y를 log(y/1-y)로 만드는 함수적 변환을 말합니다.



우변을 0-1 사이로 변환하기


$$ P(y=1) = \frac {1} {(1+e^{-(\beta_0 + \beta X)})} $$



이 함수를 시그모이드 함수라고 부릅니다. y의 값이 0-1 사이로 고정됩니다. 이것이 왜 로짓변환이냐고 할 수 있지만 아래의 식을 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좌변을 마이너스 무한대에서 플러스 무한대로 변환하기


$$ \log(\frac{P(y=1)}{1-P(y=1)}) = \log(\frac{P(y=1)}{P(y=0)}) = \beta_0 + \beta X $$



이것이 y에 로짓변환을 한 식입니다. 위 두식은 모양만 다르지 결국 풀어서 보면 같은 식입니다. 보통 머신러닝 쪽에서는 위의 식을, 통계학에서는 아래식을 더 좋아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위의 식이 더 이해하기 쉽지만, 아래 식은 해석이 좋은 특징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좌변이 X가 주어진 상황에서 로그 오즈(log odds)가 되기 때문입니다.  즉, 로지스틱 회귀분석은의 계수 추정은 독립변수 X에 대한 선형 회귀식을 X가 주어졌을 때의 반응 변수 Y의 로그 오즈에 적합시킨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계수의 해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계수에 exponential을 취하면, 해당 변수가 한 단위 증가했을 때, OR 이 됩니다.


$$ \log(\frac{P(y=1| x_1)}{P(y=0 | x_1)}) = \beta_0 + \beta_1 x_1 $$

$$ \log(\frac{P(y=1| x_1 + 1)}{P(y=0 | x_1 + 1)}) = \beta_0 + \beta_1 (x_1 +1) $$


이 때, 아래 식에서 위 식을 빼면, $$ \beta_1 $$ 만 남고, $$ \beta_1 = \log(\frac{P(y=1| x_1 + 1)}{P(y=0 | x_1 + 1)}) -\log(\frac{P(y=1| x_1)}{P(y=0 | x_1)}) $$ 가 됩니다. 


$$ \exp(\beta_1) = \frac{\frac{P(y=1| x_1 + 1)}{P(y=0 | x_1 + 1)}}{\frac{P(y=1| x_1)}{P(y=0 | x_1)}} $$

양변에 exponential을 취해주고, 로그함수의 성질에 의해 exponential된 계수는 X가 X+1이 됐을 때, 오즈의 비율 즉, 오즈 Ratio가 됩니다 (OR). 



3. Case-Control 연구에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계수 추정은 편의가 없다.


case-control 연구는 인구집단에서 case와 control을 샘플링해서 이를 대상으로 질병의 원인이 되거나 연관성이 있는 요인을 원인을 찾는 연구입니다. 예를 들어 전체 인구집단 중에 유병률이 0.001 밖에 되지 않는 질병이 있다면, 전체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면 질병에 걸린 사람(case)를 연구에 포함하기가 매우힘들어지겠죠. 따라서 case-control study에서는 질병이 있는 사람들을 더 많이 샘플링을 해서 case와 control의 비율을 최대 1:1 까지 맞춥니다. 그렇다면 이 연구용 집단은 전체 모집단과는 특성이 다르게 됩니다. 따라서 많은 수치가 잘못된 계산값을 내놓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상대위험도(Relative Risk)의 경우 참값과 다른 값이 나오게 됩니다.


이상적으로 case-control 연구는 case, control 여부에 따라서만 샘플링이 결정되어야 합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좋은 한 가지 이유는 이 가정이 맞은 경우, 편의가 없는 계수 추정치를 추정하게 됩니다. 편의가 없다는 말은 연구 집단에서 구한 계수의 기댓값이 전체 인구집단에서 구할 수 있는 계수의 "참값" 이라는 것입니다. 


왜 이렇게 되는 것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샘플링된 데이터에서 X가 주어졌을 때, Y의 오즈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P의 아래첨자는 각각 population, sample을 나타냅니다. 이 때, 파이(y=1|x)는 case 샘플에 포함될 확률입니다. 파이(y=0|x)도 마찬가지입니다. 


$$ \frac{P_s(y=1| x)}{P_s(y=0 | x)} = \frac{\pi(y=1|x)}{\pi(y=0|x)} \frac{P_p(y=1| x)}{P_p(y=0| x)} $$


근데 샘플링이 잘 되었다면 이론적으로 y=1인 샘플에 포함될 확률은 x와 독립적입니다. 따라서 파이(y=1|x)와 파이(y=0|x)는 상수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 \frac{P_s(y=1| x)}{P_s(y=0 | x)} = K \frac{P_p(y=1| x)}{P_p(y=0| x)} $$


$$ K \frac{P_p(y=1| x)}{P_p(y=0| x)} = K \exp(\beta_0 + \beta_1 x) = \exp(\beta_0' + \beta_1 x)$$


따라서, 샘플링 결과에 따라 계수의 추정량에는 영향이 없고 오직 절편만 바뀐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SAS Base 시험 절차



1. 학생의 경우 50% 할인을 받을 수 있는 Voucher 획득


2018년 8월 기준, SAS Base 시험 비용은 무려 180달러인데... Voucher를 쓰면 90달러로 절반의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메일은 certification@sas.com 로 보내시면 되며, 한국의 대학생인데 Voucher를 받고 싶다고 내용을 한 후, 재학증명서를 첨부하면 1-2일 후에 메일 답장이 옵니다. 재학증명서는 본인의 학교 홈페이지에서 출력 후, 스캔을 해서 pdf 파일로 만들면 됩니다. 이 때 스캐너를 사용하셔서 스캔을 하셔도 되지만, CamScanner와 같은 어플을 사용해서 스캔해도 상관 없습니다. (저도 Camscanncer 이용했습니다.) 가끔 학생증으로도 학생임을 확인해서 Voucher를 주는 경우도 있지만 하지만 확실한 건 영어로 된 재학증명서입니다. 


2. 피어슨뷰 회원 가입 후 시험 신청하기


http://www.pearsonvue.com/sas


이 곳에서 피어슨 뷰 회원가입을 합니다. 회원 가입 시, 영문이름을 여권 등 신분증의 영어이름과 같게 해야합니다.



이 곳에서 SAS Base를 선택하고, 시험장, 시험 시간을 선택합니다. 또한 받은 Voucher를 꼭 입력합니다.



카드 정보를 기입하고 결제를 하면 위와 같이 결제 화면이 나옵니다. 학생은 이렇게 90불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본인의 시험 스케쥴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 시험 장소에 가서 시험을 보면 됩니다. 



3. 공부하기


공부에 도움되는 것들


Cram bible

http://sinpong.tistory.com/notice/2


온라인 테스트

https://www.analyticsexam.com/sample-questions/sas-base-programmer-a00-211-certification-exam-sample-questions

http://biexamacademy.com/sas-base-certification-question-4/


SAS Solution Korea
https://www.youtube.com/channel/UC3qc20GAUtUvKfdh76-1uqw

온라인 테스트는 최종정리용으로 대충 보시고 Cram bible을 위주로 공부하면 합격에는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SAS Solution Korea 유투브 채널이 잘 모르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어 정말 좋습니다. 

4. 후기



준비 기간 : 1주 정도 (Cram bible, 유투브 SAS Solution Korea 채널로 공부)


국회의사당역 근처에있는 미르헨지 교육 센터에서 시험을 보고 합격하였습니다. Cram bible에서 못 본 문제도 많긴 했는데 Cram bible에 나온 문제만 다 맞히면 웬만하면 합격 가능할 것 같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덤프에 없던 문제 중 기억나는게 Compress 함수 관련된 문제가 나왔었습니다. 인자로 입력된 문자를 제거해주는 함수 같아서 그렇게 정답을 냈었습니다. 자격증 하나 따서 기분은 좋지만 학생할인 50% 받아도 시험 비용이 90달러라는게 압박이네요. ㅎㅎ 90달러 안아까우면서 SAS 좀 하시는 분은 가볍게 따보는 것 괜찮은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딥러닝 모델의 K겹 교차검증 (K-fold Cross Validation)


K 겹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이란 통계학에서 모델을 "평가" 하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소위 held-out validation 이라 불리는 전체 데이터의 일부를 validation set 으로 사용해 모델 성능을 평가하는 것의 문제는 데이터셋의 크기가 작은 경우 테스트셋에 대한 성능 평가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만약 테스트셋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성능이 다르면, 우연의 효과로 인해 모델 평가 지표에 편향이 생기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K-겹 교차 검증은 모든 데이터가 최소 한 번은 테스트셋으로 쓰이도록 합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데이터를 5개로 쪼개 매번 테스트셋을 바꿔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Iteration에서는 BCDE를 트레이닝 셋으로, A를 테스트셋으로 설정한 후, 성능을 평가합니다. 두 번째 Iteration에서는 ACDE를 트레이닝셋으로, B를 테스트셋으로하여 성능을 평가합니다. 그러면 총 5개의 성능 평가지표가 생기게 되는데, 보통 이 값들을 평균을 내어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게 됩니다. (아래 데이터는 모두 사실은 트레이닝 데이터입니다. Iteration이라는 상황안에서만 테스트셋이 되는 것입니다.) 이 때, 데이터를 몇 개로 쪼갰느냐가 K-겹 교차검증의 K가 됩니다.


교차 검증을 통한 성능 평가의 목적


모델 성능 평가는 보통 2개의 목적이 있습니다. 1. Unseen 데이터에 대한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2. 더 좋은 모델을 선택하기 위해 (혹은 Hyperparameter Tuning) 입니다. 교차 검증은 1,2를 달성하기 위한 좋은 방법입니다. 파이썬에서 K-겹 CV를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scikit-learn이 많이 사용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keras에서 모델을 만들고 이를 K-겹 교차검증하여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코드 & 데이터


pima-indians-diabetes.data.csv

# MLP for Pima Indians Dataset with 10-fold cross validation via sklearn from keras.models import Sequential from keras.layers import Dense from keras.wrappers.scikit_learn import KerasClassifier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KFold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cross_val_score import numpy   # Function to create model, required for KerasClassifier def create_model(): # create model model = Sequential() model.add(Dense(4, input_dim=8, activation='relu')) model.add(Dense(4, activation='relu')) model.add(Dense(1, activation='sigmoid')) # Compile model model.compile(loss='binary_crossentropy', optimizer='adam', metrics=['accuracy']) return model   # fix random seed for reproducibility seed = 7 numpy.random.seed(seed)   # load pima indians dataset dataset = numpy.loadtxt("pima-indians-diabetes.data.csv", delimiter=",")   # split into input (X) and output (Y) variables X = dataset[:,0:8] Y = dataset[:,8]   # create model model = KerasClassifier(build_fn=create_model, epochs=150, batch_size=10, verbose=0)   kfold = KFold(n_splits=2, shuffle=True, random_state=seed) results = cross_val_score(model, X, Y, cv=kfold)

설명


create_model()을 통해 Keras Model 객체를 얻음

KerasClassifier Wrapper를 통해 Keras Model을 Scikit learn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객체로 변환을 한다.

Scikit learn의 kFold를 통해 KFold의 Rule을 지정한다.

cross_val_score을 통해 해당 모델의 cross validation score를 계산한다.


결과

array([ 0.65104168,  0.59114585])

0.621093765677 (평균)

위 예제 코드에서는 간단하게 보이기 위해 2-Fold cross validation score를 계산하였습니다. results에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성능 지표가 계산되며 accuracy를 지표로합니다. 첫번째 iteration 의 accuracy 는 0.64, 두 번째 iteration 의 accuracy 는 0.59 로, 최종 cross validation score 는 0.62 가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Matching 데이터의 예


Matching이란 case의 control에서 혼란변수의 분포를 맞추어주는 방법으로 데이터셋을 구성할 때 자주 쓰이는 방식입니다. 이는 confounding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엔 Matching 데이터를 분석할 때 매우 자주 쓰이는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에 대해 아주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R에서 먼저 사용할 데이터셋을 임포트합니다. 종속변수는 d이며, 이진변수입니다. 그래서 logistic regression으로 연관성 분석을 할 수 있는데요.


library(Epi)

data(bdendo)


setdgallhypobestdurnondurationagecestagegrpage3
11.001.00NoNoYesYes4Yes96.0074.00370-7465-74
21.000.00NoNoNo0No0.0075.00070-7465-74
31.000.00NoNoNo0No0.0074.00070-7465-74
41.000.00NoNoNo0No0.0074.00070-7465-74
51.000.00NoNoYesYes3Yes48.0075.00170-7465-74
62.001.00NoNoNoYes4Yes96.0067.00365-6965-74
72.000.00NoNoNoYes1No5.0067.00365-6965-74
82.000.00NoYesYesNo0Yes0.0067.00065-6965-74
92.000.00NoNoNoYes3No53.0067.00265-6965-74
102.000.00NoNoNoYes2Yes45.0068.00265-6965-74
113.001.00NoYesYesYes1Yes9.0076.00175-7975+
123.000.00NoYesYesYes4Yes96.0076.00275-7975+
133.000.00NoYesNoYes1Yes3.0076.00175-7975+
143.000.00NoYesYesYes2Yes15.0076.00275-7975+
153.000.00NoNoNoYes2Yes36.0077.00175-7975+


데이터셋의 대한 설명은 help(bdendo)를 입력하면 나오고,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Format


This data frame contains the following columns:


set: Case-control set: a numeric vector

d: Case or control: a numeric vector (1=case, 0=control)

gall: Gall bladder disease: a factor with levels No Yes.

hyp: Hypertension: a factor with levels No Yes.

ob: Obesity: a factor with levels No Yes.

est: A factor with levels No Yes.

dur: Duration of conjugated oestrogen therapy: an ordered factor with levels 0 < 1 < 2 < 3 < 4.

non: Use of non oestrogen drugs: a factor with levels No Yes.

duration: Months of oestrogen therapy: a numeric vector.

age: A numeric vector.

cest: Conjugated oestrogen dose: an ordered factor with levels 0 < 1 < 2 < 3.

agegrp: A factor with levels 55-59 60-64 65-69 70-74 75-79 80-84

age3: a factor with levels <64 65-74 75+


하지만 Matching 데이터에 일반적인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을 쓰면 bias가 생깁니다. 왜냐하면 Matching을 하면서 가져온 데이터에는 데이터 고유의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time matching을 한 경우에, 비슷한 시기의 데이터를 샘플링을해서 하나의 strata를 만들고 데이터셋을 구성하게 됩니다. 그러면 이 시기에 의한 효과가 추정량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이라는 조금 더 개선된 logistic regression 방법을 사용하여야합니다. (수학적인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 Analysis

res.clogistic <- clogistic(d ~ cest + dur, strata = set, data = bdendo)


R로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clr)을 하는 방법은 간단한 데 Epi 패키지의 clogistic을 활용하면 됩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공변량을 ~ 뒤에 넣고, strata에 matching pair를 나타내는 변수값을 입력합니다. 이 데이터의 경우, set 이라는 변수가 strata의 정보를 갖고 있습니다. 총 5개의 row가 같은 strata임을 알 수 있습니다. 


결과를 돌리면 다음과 같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s.clogistic


Call: 

clogistic(formula = d ~ cest + dur, strata = set, data = bdendo)


         coef exp(coef) se(coef)      z    p

cest.L  0.240     1.271    2.276  0.105 0.92

cest.Q  0.890     2.435    1.812  0.491 0.62

cest.C  0.113     1.120    0.891  0.127 0.90

dur.L   1.965     7.134    2.222  0.884 0.38

dur.Q  -0.716     0.489    1.858 -0.385 0.70

dur.C   0.136     1.146    1.168  0.117 0.91

dur^4      NA        NA    0.000     NA   NA


Likelihood ratio test=35.3  on 6 df, p=3.8e-06, n=254


association을 알아보기 위한 변수 cest, dur의 추정량을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쉽게 이해하는 민감도, 특이도, False Positive, False Negative, 양성예측도



민감도 (Sensitivity), 특이도(Specificity), 양성 예측도(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는 바로 무언가를 예측하는 상황에서 쓰이는 통계적인 지표입니다. 이 지표들이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이 바로 검진(Diagnostic)인데요.


우선 검진의 정의에 대해서 명확히 짚고 넘어가보겠습니다. 검진이란 "건강 상태와 질병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증상이나 상태를 살피는 일" 입니다. 이처럼 검진은 그 사람의 병의 유무를 알기 위해 일종의 검사를 하여 병의 유무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중요한 건, 검진은 실제와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폐암 검진을 위해 흉부를 X-ray로 촬영한다고 해봅시다. X-ray는 저비용으로 폐암 여부를 알아보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X-ray 결과로 그 사람의 폐암 여부가 결정이 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X-ray에서 폐암이 의심이 가는 경우, MRI, CT 등의 더 정밀한 검사를 통해 폐암의 실제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 때, X-ray가 "폐암 여부를 정확하게 가려내는 정도" 를 수치화할 수 있겠죠. 이렇게 수치화하는 지표 중에 유명한 것이 바로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입니다. 이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표로 많이 설명합니다.



폐암 X-ray 검진 예제

 

 폐암 O

폐암 X 

 

 X-Ray 양성

 90

100 

190 

 X-Ray 음성

10 

800 

810 

 

 100

 900

 1000


총 1000명이 X-ray 검사를 받았고, 이 중에 폐암환자는 10%인 100명, 비환자는 90% 입니다. 폐암환자 100명 중 90명이 X-ray 양성 판정을 받았고, 비환자 900명중 800명이 X-ray 음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X-ray가 꽤 잘 맞춘 것이죠.


이 때, 폐암환자 중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의 비율을 민감도,

비환자 중 음성 판정을 받은 사람의 비율을 특이도라고 합니다. 


이 예에서, 민감도는 90/100 = 0.9, 특이도는 800/900 = 0.89 입니다. 이 때 1-0.9=0.1 = False Negative Rate, 1-0.89 = False Positive Rate 라고 합니다. 


즉, False Negative는 환자인데 검진에서 가려내지 못한 사람의 수, False Positive는 정상인인데 검진에서 환자로 판단한 사람의 수입니다. Rate가 붙으면 분모로 나누어 0과 1 사이의 값으로 나타내게 되는 것입니다. 민감도, 특이도, False Negative, False Positive는 이렇게 세트로 묶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양성 예측도, 음성예측도는 무엇일까요?


민감도와 특이도는 검진을 받은 "사람"의 관점에서 그 기기의 검진의 정확도를 판단한 것입니다. 반면, 양성 예측도, 혹은 음성 예측도의 경우 "기기의 관점"에서 검진의 정확도를 판단하게 됩니다. X-ray가 양성이라고 판단했을 때, 실제 폐암 환자일 확률은 90/190 = 0.47 입니다. 바로 이것을 양성 예측도라고 합니다. 반대로, X-ray가 음성이라고 판단했을 때, 진짜 정상인일 확률은 음성 예측도라고 하며, 800/810=0.98 입니다. 


문제는 양성 예측도가 왜이렇게 작게 나왔는가? 하는 것입니다. 양성 예측도는 민감도(0.9)와 특이도(0.89)처럼 그 값이 크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찰력이 좋으신 분들은 직감으로 이걸 이해할 수 있으실 것입니다. 문제는 바로 "데이터의 불균형" 때문인데요. 비환자 900명중에 단지 100명만이 X-ray 양성으로 잘못 판단되었지만 (False Positive) 상대적으로 비환자가 1:9로 많기 때문에 그 값이 상대적으로 크게 잡혔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식으로 살펴보면, 양성 예측도 = 90 / 190 = 90 / 90+100 으로 풀어쓸 수 있겠죠. 이 때, 비환자가 환자와 마찬가지로 100명이었다면 90/90+100/9 = 약 0.9가 되었어야합니다. 하지만, 비환자가 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False Positive가 많아져서 양성 예측도가 적게 나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두고, 양성 예측도는 유병률이 작을 수록 작다. 라고 표현합니다. 이 예제에서 폐암 유병률은 0.1이겠죠. 이 값이 작으면 작을 수록 False Positive에 의해 양성 예측도, PPV 는 작아지게 됩니다. 이를 보통 아래 식을 통해서 이해를 하게 되는데요. 


이 식은 위 테이블에서 변수를 놓고 방정식을 풀면 나오게 됩니다. (시간이 되시는 분들은 직접 손으로 풀어보시면 나옵니다.) 이 식을 보면, 분모는 검진의 양성 판단 횟수이며, 분자는 환자를 양성으로 판단한 횟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근데, sensitivity*prevalance는 분모, 분자에 같이 있으므로, (1-specificity)*(1-prevalence)가 실제 PPV 값에 영향을 주게 되겠죠. specificity가 고정되어있을 경우, prevalence, 유병률이 작아질 수록 분모가 커져 PPV 값은 작아진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중 어떤 지표로 검진 기기를 판단해야 할까요?


명확하게 무엇이 절대적인 기준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다만, 민감도의 경우 환자의 생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민감도가 낮은 검진의 경우, False Negative(환자인데 정상으로 판단)가 많아지게 되겠죠. 환자인데 정상으로 판단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환자의 생명에 지장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민감도를 중요시하는 이유입니다. 반면, 특이도의 경우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와 관련이 있습니다. 특이도가 낮으면, False Positive(정상인데 환자로 판단)가 많아지게 되겠죠. 정상인이 환자로 판단되면, 환자가 불안감에 시달리거나, 불필요한 정밀한 추가검사를 받아 환자가 아니라는 것을 밝혀야합니다. 따라서 불필요한 손실이 일어나게 됩니다. 하지만 민감도와 특이도는 현실적인 관점에서 trade off의 관계에 있습니다. 민감도를 높이면 특이도는 보통 낮아지게 되죠. 따라서 적절한 수준에서 검진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양성 예측도의 경우 유병률이 매우 낮은 질병에서는 높은 것을 기대하기가 힘듭니다. 위 식에서 봤듯이 유병률이 매우 낮으면, 데이터의 불균형으로 인해 False positive가 많아지고 양성 예측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검진의 특이도를 매우 높여야하는데, 현실적으로 민감도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에 양성 예측도는 유병률이 낮은 질병에서 보통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R로 구현하는 Gibbs Sampling

 

Bayesian Linear Regression

\[y_i = \beta_0 + \beta_1 x_i + \epsilon, \epsilon \sim N(0,1/\tau) \] \[ y_i \sim N(\beta_0 + \beta_1 x_i, 1/\tau)\] 이 모델에서 아래 데이터를 관찰했을 때, likelihood는 \[ (y_i, x_i), i=1,2,3...,N \] \[ L(yi,xi | \beta_0, \beta_1, \tau) = \prod_{i=1}^{N}N(\beta_0, \beta_1 x_i, 1/\tau) \] Bayesian의 특징은 여기서 beta0과 beta1, tau의 prior distribution을 정의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conjugate prior를 가정한다.

 

\[\beta_0 = N(\mu_0, 1/\tau_0) \] \[\beta_1 = N(\mu_1, 1/\tau_1) \] \[\tau \sim Gamma(\alpha, \beta) \] 이 파라미터들의 posterior distribution을 구하는 것이 bayesian estimation의 목적이다. 현재 데이터를 관찰함으로써, prior distribution이 변한 것이 posterior이다.

 

Gibbs sampling

우리의 목적은 theta0과 theta1의 joint posterior distribution을 구하는 것이다. 즉, 아래 pdf를 구하는 것이다.

\[ p(\theta_1, \theta_2 || x) \] 이걸 구하기 위해서 Gibbs sampling 방법에서는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해full conditional distribution을 구한다. (이것이 가장 힘든 파트이다.) 데이터와, 모든 파라미터를 상수로 가정하고, 관심 있는 파라미터의 조건부 pdf를 구하는 것이다.

 

  1. 초기값을 정한다. \[ \theta_2^{(i)} \]
  2. 표본을 아래 분포에서 뽑는다. \[\theta_1^{(i+1)} \sim p(\theta_1 | \theta_2^{(i)}, x) \]

  3. 표본을 아래 분포에서 뽑는다. \[ \theta_2^{(i+1)} \sim p(\theta_2 | \theta_1^{(i)}, x) \]

그러면 위에 기술했던 Linear 모델의 posterior를 우선 구해보자.

우선 x,y data를 관찰했을 때의 beta0의 posterior는 아래와 같다.

\[ \beta_0|\beta_1,\tau,\tau_0,\mu_0,x,y \] 이것은 아래의 정규분포를 따른다. 왜 이렇게 되는지 자세한 설명은 이곳에 있다. 

\[ \beta_0|\beta_1,\tau,\tau_0,\mu_0,x,y \sim N(\frac{\tau_0\mu_0 + \tau \sum_i(y_i-\beta_1 x_i)}{\tau_0 + \tau N}, 1/(\tau_0 + \tau N)) \] 마찬가지로 나머지 추정하고 싶은 파라미터에 대한 posterior는 아래와 같다.

\[ \beta_1|\beta_0,\tau,\tau_0,\mu_0,x,y \sim N(\frac{\tau_1\mu_1 + \tau \sum_i(y_i-\beta_0 x_i)}{\tau_1 + \tau \sum_ix_i{^2}}, 1/(\tau_1 + \tau \sum_ix_i{^2}))\]

\[ \tau|\beta_0,\beta_1, \alpha, \beta ,x,y \sim Gamma(\alpha+\frac{N}{2}, \beta + \sum_i( \frac{(y_i-\beta_0-\beta_1x_i)^2}{2}) \] 이제 posterior를 알았으니, Gibbs sampling을 이용해 이를 추정해보자.

 

# Hyperparameters (Prior) 
k.mu0 <- 0
k.mu1 <- 0
k.tau0 <- 1
k.tau1 <- 1
k.alpha <- 2
k.beta <- 1
# Initial parameter (임의의 값)
k.beta0 <- 0
k.beta1 <- 0
k.tau <- 2

# Simulation을 위한 데이터 생성. 
beta.true <- 2
int.true <- -1
tau.true <- 1
x <- runif(min = 0, max = 4, 100)
y <- beta.true*x + int.true + rnorm(100, mean=0, sd=1/tau.true)
plot(x,y)

 

관찰한 데이터

 

full condition pdf에서 sample 추출하는 함수 정의

get.beta0.sample <- function(beta1, tau, tau0, mu0, x, y) { 
  N <- length(y) 
  precision <- tau0 + tau*N 
  mean <- tau0 * mu0 + tau * sum(y - beta1 * x) 
  mean <- mean/precision 
  result <- rnorm(1, mean=mean,sd=1/sqrt(precision)) 
  return(result) 
}
get.beta1.sample <- function(beta0, tau, tau1, mu1, x, y) {
  N <- length(y)
  precision <- tau1 + tau*sum(x*x)
  mean <- tau1 * mu1 + tau * sum((y - beta0) * x)
  mean <- mean/precision
  result <- rnorm(1, mean=mean,sd=1/sqrt(precision))
  return(result)
}
get.tau.sample <- function(x, y, beta0, beta1, alpha, beta){
  N <- length(y)
  alpha_new <- alpha + N / 2
  resid <- y - beta0 - beta1 * x
  beta_new <- beta + sum(resid * resid)/2
  return(rgamma(1, shape=alpha_new, scale=1/beta_new))
}
# Burn-in period를 제거하고 result를 저장
burnin <- 9000
result <- trace[-burnin,]
# Prior와 Posterior 비교하기
temp_x <- seq(from=-3,to=3,by = 0.01)
beta0.prior <- dnorm(x=temp_x, mean=k.mu0, sd=1/k.tau0)
beta0.post <- result[,'beta0']
plot(temp_x, beta0.prior)

 

hist(beta0.post)

 

temp_x <- seq(from=-3,to=3,by = 0.01)
beta1.prior <- dnorm(x=temp_x, mean=k.mu1, sd=1/k.tau1)
beta1.post <- result[,'beta1']
plot(temp_x, beta1.prior)

 

hist(beta1.post)

 

temp_x <- seq(from=0,to=10,by = 0.01)
tau.prior <- dgamma(x=temp_x, shape=k.alpha, scale = k.beta)
tau.post <- result[,'tau']
plot(temp_x, tau.prior)

hist(tau.post)

 

 

참고 

https://kieranrcampbell.github.io/blog/2016/05/15/gibbs-sampling-bayesian-linear-regression.html

반응형
반응형


Markov Chain Monte Carlo


Basic Idea


어떤 분포(pdf)로부터 데이터를 sampling 하거나, 분포의 기댓값을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high-dimensional pdf일 경우 이 pdf에서 데이터를 샘플링하기가 힘든데, 이를 하기 위한 방법이 MCMC이다. 또는 MCMC는 uncertain parameter model에서 parameter을 추정할 때 쓰기도 한다. 


기본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1. 시작점을 정하고 그 지점에서의 확률(pdf(x))을 구한다. 

2. 그 지점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지점을 정한다. (이를 주로 "random walk" 라고 부른다.)

3. 만약 그 지점의 확률이 이전 지점보다 높다면 이동하고, 낮으면 이동하지 않거나, 어떤 확률로 이동한다. (이는 강화학습에서의 exploit & explore의 원리와 비슷하다.)


이러한 절차를 계속하다보면 실제 pdf에서 데이터가 나온 것처럼 샘플링할 수 있다. 왜 이것이 Markkov Chain인가하면, 2번 단계에서 임의의 지점을 정할 때, 이전 단계에만 의존적이기 때문이다. 


MCMC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우선 Metropolis-Hastings algorithm을 살펴보자.


Metropolis-Hastings algorithm


여기서 Q는 proposal distribution P*(x)는 high-dimensional pdf 이다. 이 때, Q는 random walk를 샘플링할 분포로 대칭 분포여야하며, 잘 설정되어야한다. (즉, Q(x|y) = Q(y|x) 여야 한다.) 이 알고리즘을 먼저 간단히 기술해보면, x(1)을 임의로 고른 후, Q(x;x(1)) 에서 x(2)를 샘플링한다. 이 때, P*(x(2))가 P*(x(1))보다 크면, alpha의 확률로 accpet해서 이동하고, 1-alpha의 확률로 reject한다. 이 때, alpha는 acceptance ratio인데 alpha = P*(x(2))/P*(x(1)) 이다. 즉, 이동한 점의 pdf값이 이전 값보다 크면 무조건 이동하고, 이전값보다 작으면 일정 확률로 이동하는데 이 일정확률은 이후값과 이전값의 ratio이다. 



위키피디아의 좀 더 자세한 알고리즘도를 보면 아래와 같다. 


  1. Initialization: Choose an arbitrary point x0 to be the first sample, and choose an arbitrary probability density  (sometimes written ) that suggests a candidate for the next sample value x, given the previous sample value y. For the Metropolis algorithm, g must be symmetric; in other words, it must satisfy . A usual choice is to let  be a Gaussian distribution centered at y, so that points closer to y are more likely to be visited next—making the sequence of samples into a random walk. The function g is referred to as the proposal density or jumping distribution.
  2. For each iteration t:
    • Generate : Generate a candidate x for the next sample by picking from the distribution .
    • Calculate : Calculate the acceptance ratio , which will be used to decide whether to accept or reject the candidate. Because f is proportional to the density of P, we have that .
    • Accept or Reject :
      • Generate a uniform random number u on [0,1].
      • If  accept the candidate by setting ,
      • If  reject the candidate and set , instead.


MCMC(Metropolis-Hastings algorithm)를 통해 파라미터를 추정(파라미터를 샘플링)하는 것도 이와 비슷한 절차를 따른다. 


1. 모델의 초기 파라미터 값을 정한다. (이는 랜덤으로 정해도 되고, 기존 문헌의 정보가 있다면 이를 활용한다.)

2. 파라미터를 랜덤하게 선택해서 "이후 파라미터"를 구한다. 

3. 초기 파라미터에서의 cost와 이후 파라미터의 cost를 비교해, 이후 파라미터의 cost가 작으면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한다. (ex. cost = Mean absolute error)

4. 만약 이후 파라미터의 cost가 크면 alpha의 확률로 파라미터를 업데이트 한다. 

5. alpha는 예를 들어 exp(-(cost(이후)-cost(이전)) 으로 정할 수 있다. (이후 cost가 크면 이 값은 0에서 1사이의 값을 같기 때문에 확률로 쓰는것)


최종적으로 MCMC를 통해 나오는 것은 파라미터의 분포이다. 이 분포에서 어떤 값을 파라미터의 추정값으로 쓸 것인가도 하나의 문제이다. 예를 들어, MLE, 평균 등을 쓸 수 있다.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h1NOS_wxgGg


반응형
반응형

Nested case-control study

우선 nested case-control study란, 코호트 데이터에서 질병 상태에 따라 case-control을 뽑아내서 case-control study를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코호트 스터디에서  10년간 추적관찰을 하였는데 10만명의 사람중 2천명이 유방암에 걸렸다고 하자. 이 때, case와 control을 적절하게 추출해 gene expression의 차이를 보고 싶다고 하자. 이것이 nested case-control study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만약 cohort 초기에 gene expression 데이터셋을 구축하고자 한다면, 10만명의 사람들의 피를 추출해 gene expression DB를 구축해야할 것이다. 하지만 nested case-control study 방법으로 한다면, 보통, case의 1-4배 정도 되는 control을 추출해 gene expression을 분석하면 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실제로 nested case-control study는 biomarker를 이용하는 연구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Retrospective cohort study

retrospective cohort study(후향적 코호트 연구)란 cohort study의 크게 두 가지 범주(전향적, 후향적 코호트 연구) 중 하나로, 연구 시점이 코호트 데이터를 모은 '후' 가 되는 연구를 말한다. 이는 nested case-control study와 비슷한데, 마찬가지로 연구 시점이 코호트 모집 전이 아니라 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후향적 코호트 연구의 경우, 기본적으로 코호트 연구이며, case-control처럼 질병 상태에 따라 연구 집단을 뽑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광산에서 일하는 광부들을 10년간 추적 관찰했다고 하자. 추후에 이 광부들을 대상으로 lung cancer으로 인한 사망률을 일반 인구집단과 비교해 알아보고 싶은 경우, 이것이 후향적 코호트 연구의 예가 될 수 있다. 이 광부 코호트로 nested cohort study를 하는 경우는 lung cancer에 따라 case-control을 추출 한 후, 이 case-control을 대상으로 exposure을 비교하는 경우이다.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Nested_case-control_study

http://epidemiologyclass.blogspot.kr/2004/10/difference-between-nested-case-control.html

반응형
반응형
역학 연구에서의 스터디 디자인


역학 연구에서의 스터디 디자인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테이블이다. 각각의 스터디 디자인에서 기술 연구, 분석 연구를 할 때 일반적으로 어떤 measure를 사용하는지, 그리고 스터디 디자인마다 장, 단점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Table 1: 
Main study designs in classic epidemiology.


Case reportsCase seriesEcological studiesCross sectional studiesCase controlCohortIntervention trials

Unit of study(Single case) 
individual
(>1 cases) individualPopulationIndividualIndividualIndividualIndividual

DescriptionDescribes unusual characteristics of a caseA group of casesComparing populations in different places at the same time or, in a time seriesStudy of population at, “point-in-time,”Study of two groups of subjects: (case; disease of interest and control; disease-free)Study of two groups of subjects (exposure and non-exposure groups)Study and examine two groups of subjects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DirectionPresentPresentPresentPresentReverseForwardForward

Type of measurementReporting, descriptionReporting, descriptionCorrelationPrevalence, associationOdds ratioPrevalence, incidence, relative risk, attributable riskPrevalence, incidence, relative risk, attributable risk

AdvantagesQuick, having clinical importance, opportunities for physicians to exchange of thoughtsQuick, having clinical importance, opportunities for physicians to exchange of thoughtsQuick, inexpensive, group-level studies may also be the only way to study the effects of group-level constructs, for example, lawsEasy, inexpensive, useful for investigating fixed exposures such as blood group, most convenient in outbreaks of diseaseRelatively inexpensive good for rare diseases Efficient in resources and timeBetter for rare exposures, ability to determine causality relationsThe strongest evidence for causality, control of unknown confounders, fulfils the basic assumption of statistical hypothesis tests

limitationInability to determine statistical relations and analysisInability to determine statistical relations and analysisEcological fallacySusceptible to selection bias and misclassification, difficult to establish a putative, “cause”, Not good for rare diseases or rare exposuresSusceptible to selection bias and misclassification bias, may be difficult to establish that, “cause,” preceded effectCostly and time consuming, susceptible to selection bias. Relatively statistically inefficient unless disease is common.Expensive, time consuming, sometimes ethically generalizability problem

https://www.hindawi.com/journals/isrn/2013/952518/tab1/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