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inghum Heart Study Stroke 모형
논문 Probability of Stroke: A Risk ProfileFrom the Framingham Study (1991)
질병의 위험도 예측 모형은 어떤 질병이 향후 t년간 발생할 확률을 예측하는 모형이다. 위험도 예측 모형은 다양한 모델로 구축할 수 있는데, Cox-proportional Hazard 모형을 많이 사용한다. 질병 발생이 성별로 양상이 다른 경우가 많아 성별로 다른 위험도 예측 모형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에서도 성별로 다른 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논문은 Framinghum Heart Study 코호트를 통하여 Stroke의 위험도 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 Stroke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였다.
Atherothrombotic brain infarction : 죽상혈관 뇌경색
Transient ischemic attack only : 일시적인 허혈성 발작
Cerebral embolus : 뇌색전 (ischemic attack의 원인이라고 한다.)
Intracerebral hemorrhage : 출혈성 뇌혈관 질환
Subarachnoid hemorrhage : 지주막하 출혈
위 논문에서 위험도 예측 모형에 사용한 변수 및 회귀 계수는 아래와 같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p = 1-S(t)^B
(p는 t년 안에 stroke 발생 확률)
이 때,
A = L-M
B = e^A
L = 0.0505xAge+0.0140xSBP-l-0.3263xHyp Rx+0.3384xDM+0.5147xCigs-t-0.5195xCVD+0.6061xAF+0.8415xLVH
M = 0.0505xMeanAge+0.0140xMeanSBP-l-0.3263xMeanHypRx+0.3384xMeanDM+0.5147xMeanCigst 0.5195xMeanCVD+0.6061xMeanAF+0.8415xMeanLVH
(MeanXXXX은 stroke 발생자의 평균 값. 예를 들어 MeanAge는 stroke 발생자의 평균 나이)
이 연구에서 stroke 발생자의 위험인자들의 평균값은 아래와 같다.
또한 stroke 없이 t년간 생존할 확률 S(t)는 성별로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남자
여자
예제
예를 들어, 70세의 남성이며 수축기혈압이 140mmHg, 흡연자, 고혈압약 미복용, 당뇨병 안걸림, 심세동 및 심방조동 과겨력 X, 좌심실 비대 X인 사람을 생각해보자. 그러면,
L=0.0505x70+0.0140x140+0.3263x0+0.3384x0+0.5147x1+0.5195x0+0.6061x0+0.8415x0=6.0097
또한 M = 5.6770 (Table2에 제시된 평균값 대입)
따라서,
A = 6.0097-5.6770 = 0.3327
B = e^A = e^0.3327 = 1.3947
p=1-S(10)^B= 1-0.9044^(1.3947) = 1-0.8692= 0.1308 = 13.08%
'Domains > Biomedical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시험의 단계 정리 (0) | 2019.10.25 |
---|---|
의생명 분야에서의 신경망 모델 (Deep learning in biomedicine) (0) | 2018.12.02 |
헬스케어를 위한 인공지능 (0) | 2018.03.06 |
Medical Image 분야의 Deep Learning 응용 (0) | 2017.10.31 |
4p 의학의 개념 (0) | 2017.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