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상시험의 단계 정리 



1. 전임상 단계


임상시험을 실제로 시작하기 전에 가장 먼저 시작하는 단계로 연구실 내 안전성 시험 및 동물 실험, 선행 논문 조사 등이 이 단계에 포함된다. 한국의 경우, 전임상 단계를 거쳐 임상시험계획서 (Investigational New Drug, IND) 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하여 임상시험의 허가를 받아야한다. 


2. 제 1상 


목적 : 안정성 검증 및 최대 투약량 결정

  • 본격적인 임상시험의 단계이다. 소수의 건강한 참여자 (예를 들어, 20~80명) 를 대상으로 독성, 부작용 등의 중요한 반응만을 관찰한다. 제 1상의 한 가지 목적은 최대 허용량 (Maximum Tolerated Dose, MTD) 을 결정하는 것이다. MTD 를 결정하는 방법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점점 투약량을 높여가며 이상 반응 및 약물동력학적 검사를 통해 결정한다. 즉, 1상의 목적은 크게 안정성 검증 및 최대 투약량 결정이다. 


3. 제 2상 


목적 : 3상 진입 가능 여부 판단 (효율성 판단), 투약량 결정 

  • 특정 질환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효과를 처음 관측하는 단계이다. 건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한 1상과는 대상자의 구성이 다르다. 1상을 통해 새로 개발된 약이 안전한 건 알겠고,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해야하는 단계로 넘어가야하는데, 1상은 그 단계로 넘어갈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일종의 사전 검증이라 할 수 있다. 왜 바로 효과성 검증 단계로 넘어가지 않고, 사전 검증을 하냐면 다음 단계인 3상은 엄청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있기 때문이다. 2상은 3상을 넘어가기전 근거를 기반으로 넘어가도 될만한지 판단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3상에서 쓰일 투약 용량을 결정한다. 


2상-A 단계

  • 2상을 A, B 단계로 구분하기도 한다. 2상 A 단계는 투약 용량을 결정하도록 고안된 임상시험이다. 


2상-B 단계

  • 2상 B 단계는 효율성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임상시험이다. 


이렇게 A, B 단계로 세부적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이 구분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4. 3상 


목적 : 약 효과 확증

  • 3상은 확증 임상시험 (Confirmatory Clinical Trial) 이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약이 효과가 있는지를 확증하는 단계이다. 2상에서는 단지 3상으로 넘어갈만한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단계였다면, 3상은 실제로 이 약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증하는 단계로, 3상에서 효과가 확증되면 그 약은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3상은 임상시험에서 가장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3상에서만 수백억원 이상이 든다. 
  • 제약회사는 임상 시험을 디자인 하고, 2상의 결과, 법 등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정한 연구자가 원하는 차이의 정도 (델타), 유의수준(알파), 검정력(베타, 파워) 를 바탕으로 샘플 사이즈를 계산한다. 샘플 사이즈는 연구 디자인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5. 4상 

목적 : 장기간 투약시 약효, 부작용 평가
  • 3상 결과 해당 약이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증되면 4상으로 넘어간다. 4상은 시판 후 조사과정(Post-marketing Surveillance; PMS) 이라고도 부른다. 유통 과정에서 약의 효과와 부작용 등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기 위한 과정이다. 3상에서 보기 힘든 장기간 투약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