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36)

반응형

변수 종류별 시각화 및 검정 방법


얼마전, 변수 종류별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각화 및 검정 방법을 간단하게 요약한 표를 발견해 공유합니다. 출처는 이곳 입니다. 표를 그린 기본 아이디어를 보면, 종속변수를 Binary, Nominal, Ordinal, Interval, Normal, Censored Interval 으로 나누었습니다. 독립변수의 경우, Binary Categorical (Paired/Unpaired), Categorical (Paired/Unpared), Normal, Multivariate 으로 나누었습니다. 이 때, ordinal 의 경우, 연속형 범주로 또는 범주형 변수 상황에 따라 둘 다 가능합니다.


그래프의 경우 요약하면, Barplot, Boxplot, Scatter plot 이 기본입니다. 카테고리x카테고리 = Barplot, 카테고리x연속형 = Box plot, 연속형x연속형 = Scatter plot 으로 기본적으로 그리면 됩니다. 여기서 Box plot 의 경우 전통적인 통계에서 많이 쓰이는 그래프이지만, Histogram with different colors or side by side 또는 violin plot 도 선호됩니다. 


대부분의 기초 통계에서 배우는 검정은 대부분 이 표안에 속해있습니다. 검정에서 하고자 하는 것은 변수 X와 변수 Y 가 연관성이 있는가? 입니다. 검정도 마찬가지로, X와 Y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아래표의 대부분의 검정은 기초 통계에서 배우는 내용입니다. Paired data 에 적용하는 맥니마 검정은 설문지/심리학 연구 등에 자주 사용되는 통계적 검정 방법인데 이전 제 포스팅에서 다루었습니다. 코크란의 Q test는 맥니마 검정의 확장으로 종속변수가 두 개 이상일 때 사용하는 통계적 검정 방법입니다. 


출처

https://www.r-bloggers.com/overview-of-statistical-tests/

반응형
반응형

예측값을 변수로 활용하는 앙상블 테크닉 Blending


Blending 은 Ensemble 의 한 종류입니다. Ensemble 이란 예측 모형을 통합해서 하나의 예측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Ensemble 의 묘미는 서로 다른 예측 모형들을 합쳐 더 강한 예측 모형을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다. 가령 정확도 0.7, 0.7 인 모델 두 개를 합쳐서 0.9 을 만들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Ensemble 의 한 가지 종류인 Blending 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Blending 의 프로세스  


1. Traning/Validation/Test set 을 나눈다. 

2. Training set 에 모델 피팅을 한다. 

3. Validation/Test set 에 대해 예측을 한다. 

4. Validation set 과 Validation set 에 대한 예측이 새로운 모델을 만드는 데에 사용된다.

5. 4의 모델을 최종 Test set 에 대한 예측을 하는데 사용된다. 


조금 더 명확하게 보기 위해 Blending 을 활용한 코드를 보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 아래 코드는 Decision tree 와 KNN 을 활용해 각각 validation set 과 test set 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코드입니다. 


Blending 구현 - 파이썬 

참고 (https://www.analyticsvidhya.com/blog/2018/06/comprehensive-guide-for-ensemble-models/)

model1 = tree.DecisionTreeClassifier()
model1.fit(x_train, y_train)
val_pred1=model1.predict(x_val)
test_pred1=model1.predict(x_test)
val_pred1=pd.DataFrame(val_pred1)
test_pred1=pd.DataFrame(test_pred1)

model2 = KNeighborsClassifier()
model2.fit(x_train,y_train)
val_pred2=model2.predict(x_val)
test_pred2=model2.predict(x_test)
val_pred2=pd.DataFrame(val_pred2)
test_pred2=pd.DataFrame(test_pred2)


아래 코드는 validation set 의 예측 결과 (Decision tree, KNN) 을 원래 feature 에 붙여서 새로운 데이터셋 df_val 을 만든 후, Final prediction model (이 예제에서는 Logistic regression model) 을 적합시키고, test set 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df_val=pd.concat([x_val, val_pred1,val_pred2],axis=1)
df_test=pd.concat([x_test, test_pred1,test_pred2],axis=1)

model = LogisticRegression()
model.fit(df_val,y_val)
model.score(df_test,y_test)


Blending 과 Stacking 의 차이점


Blending 은 종종 다른 Ensemble technique 인 Stacking 과 비교가 됩니다. Stacking 은 다른 예측 모형들의 결과값을 통해 새로운 모델을 만드는 Ensemble 방법입니다. Stacking 의 경우는 Training set 의 예측값을 Training data 로 하여 Meta classifier (또는 Meta regression) 을 학습합니다. 그리고 이 Meta classifier 를 통해 Test set 을 예측합니다. Blending 과 Stacking 의 차이점은 1) Blending 은 validation set 에 대한 예측값을 training 에 이용하지만, Stacking 은 training set 에 대한 예측값을 활용합니다. 2) Blending 을 예측값 뿐 아니라 원래 Feature 도 활용하는 반면, Stacking 은 예측값만 활용합니다. 그러면 이러한 의문이 남습니다. 왜 validation set 만 활용해서 Final prediction model 을 구축해야하는가? Training Set 에의 feature에 Training set 으로부터 예측한 예측값을 붙여서 활용하면 되지 않는가? 입니다. 만약 training performance 와 validation performance 가 비슷하다면 가능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training performance 가 높다면, feature 가 예측에 별로 필요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feature를 예측에 활용하는 blending 의 장점이 없게 됩니다. 따라서 blending 을 잘활용하기 위해서는 validation set 의 meta-feature (원래 feature 및 예측값) 을 통해 training 하고, test set 에 대해 성능을 최종 평가해야합니다. 


참고

https://www.analyticsvidhya.com/blog/2018/06/comprehensive-guide-for-ensemble-models/

https://machinelearningmastery.com/implementing-stacking-scratch-python/

반응형
반응형


R 에서 한글 파일 쉽게 읽어오는 팁


운영체제 별로 다른 파일 인코딩으로 저장되는 문제로 인해, R 에서 한글이 인코딩 된 파일을 읽어올 때 문제가 자주 생깁니다. 아예 읽어오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읽어와도 프린트 했을 때, 한글이 깨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특히 EUC-KR 로 인코딩 된 파일의 경우, data.table의 fread 나 readr의 read_csv 를 이용하기가 힘듭니다. 


이런 상황에서 readAny 패키지의 read.any 함수를 이용하면 delimeter 로 구분된 text 파일이나, csv 파일 등을 쉽게 읽어올 수 있습니다 (또는 패키지 설치를 하지 않고 함수를 변수로 저장한 다음 사용하셔도 됩니다). 출처는 이곳입니다. readr 패키지의 guess_encoding 함수를 이용해 파일 인코딩을 알아낸 후, 이 정보를 이용해 read.table 로 읽어오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확장자에 맞게 delimter 를 지정하는 로직까지 있습니다. 

library(devtools)

install_github("plgrmr/readAny", force = TRUE)
library(readAny)

read.any("http://philogrammer.com/melon10_euc.csv", header = TRUE)

library(readr) read.any <- function(text, sep = "", ...) { encoding <- as.character(guess_encoding(text)[1,1]) setting <- as.character(tools::file_ext(text)) if(sep != "" | !(setting %in% c("csv", "txt")) ) setting <- "custom" separate <- list(csv = ",", txt = "\n", custom = sep) result <- read.table(text, sep = separate[[setting]], fileEncoding = encoding, ...) return(result) }

philogrammer 님의 방법에 추가적으로, 한 함수를 통해 엑셀 파일까지 읽어오기 위해 아래와 같이 변형해서 사용하였습니다. 

read_any <- function(text, sep = "", ...) {
  encoding <- as.character(guess_encoding(text)[1,1])
  setting <- as.character(tools::file_ext(text))
  
  if(setting == 'xlsx'){
      result <- read_excel(text)
  }
  else {
      if(sep != "" | !(setting  %in% c("csv", "txt")) ) setting <- "custom"
      separate <- list(csv = ",", txt = "\n", custom = sep)
      result <- read.table(text, sep = separate[[setting]], fileEncoding = encoding, ...)
  }
  return(result)
}

참고자료

http://philogrammer.com/2017-03-15/encoding/

반응형
반응형

통계적 검정의 종류


통계적 검정에 있어 p-value 를 보고 기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도 있지만, 소위 '신뢰구간이 0 을 포함하는지' 를 보고 가설검정을 할 수도 있다. 왜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지 않으면 두 그룹의 차이가 유의하다고 볼 수 있을까? 본 포스팅에서는 우월성 검정과 동등성 검정에 대하여 신뢰구간과 양측 가설검정이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설명한다. 


1. 우월성 검정 (Superiority Test)


우월성 검정은 A가 B보다 우월함을 보이는 검정으로 일반적인 통계적 검정 (two-sample t-test) 이다. two-sample t-test 에 대한 기초내용은 이전 포스트에서 정리하였다. 


$$ H_0 : \mu_1 = \mu_2 $$

$$ H_0 : \mu_1 \ne \mu_2 $$


우월성 검정을 단측검정이 아니라 양측검정으로 하는 이유는 신뢰구간과 검정의 결과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A 약이 B 약보다 우월함을 보이고 싶을 때 검정을 통해서 구한 p-value 만 제시하는 것보다 구간 추정값을 제시하는 것이 더욱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양측검정을 하면, 구간 추정을 통한 검정과 같은 판단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양측검정이 더 선호된다. 일반적으로 우월성 검정의 결과로 양측검정에 대한 p-value 와 함께 95 % 신뢰 구간을 제시된다. 


양측검정과 95 %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는지 여부가 같은 판단을 내리는 이유 


양측검정의 p-value


합동 분산을 이용한 two-sample t-test 를 예로 들어보자. p-value는 귀무가설하에서 더 극단적인 데이터를 관찰할 확률이다. 여기서 극단적인 확률이란 표본의 통계량이 대립가설을 지지하는 쪽으로 나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부등호의 방향이 [X > 통계량] 임을 알 수 있다. (단 통계량이 양수인 경우)


$$ P= 2 P[X > \frac{\tilde X_1 - \tilde X_2 - (\mu_1-\mu_2)}{\sqrt{s^2_p(1/n_1+1/n_2)}}] $$

$$ X \sim t(n_1+n_2-2) $$


위 식에서 p-value는 귀무가설 하에서라는 정보를 이용하면 mu_1 - mu_2 = 0 이고, 이를 통해 p-value 를 계산할 수 있다.  


95% 신뢰구간


$$ (\tilde X_1 - \tilde X_2 - t_{0.025}\sqrt{s^2_p(1/n_1+1/n_2)} ,  \tilde X_1-\tilde X_2 + t_{0.025}\sqrt{s^2_p(1/n_1+1/n_2)})$$


이 때, 통계량의 차이가 양수이고, 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구간 추정값의 left bound 가 0 보다 큰 경우인데, p-value 는 0.05 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통계량의 차이가 음수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right bound 가 0보다 작을 때의 p-value 가 0.05 보다 작기 때문에 동일하다. 이를 식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If, \tilde X_1 - \tilde X_2 - t_{0.025}\sqrt{s^2_p(1/n_1+1/n_2)} > 0 $$

$$ P < 2P[X > t_{0.025}] = 0.05$$ 


2. 동등성 검정 (equivalence test) 


동등성검정은 A와 B가 의미있는 차이가 없음을 보이는 목표를 갖는 검정이다. 동등성 검정에서는 delta 라는 미리 정의된 값을 이용한다. 


$$ H_0 : \mu_1-\mu_2 \ge \delta $$

$$ H_1 : \mu_1-\mu_2 < \delta $$


동등성 검정 결과는 95 % 신뢰구간이 (-delta, delta) 안에 들어오는지 여부와 같다. 신뢰구간이 delta 사이에 들어오면 양측검정의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왜 이렇게 되는지 아래에서 설명한다. 


양측검정의 p-value


우월성검정과 비교해 부등호의 방향을 주의해야 한다.


$$ P= 2 P[X < \frac{\tilde X_1 - \tilde X_2 - (\delta)}{\sqrt{s^2_p(1/n_1+1/n_2)}}]  $$

$$ X \sim t(n_1+n_2-2) $$


95 % 신뢰구간


95 % 신뢰구간은 검정과 독립적으로 나오는 값이기 때문에 1. 과 같다. 


$$ (\tilde X_1 - \tilde X_2 - t_{0.025}\sqrt{s^2_p(1/n_1+1/n_2)} ,  \tilde X_1-\tilde X_2 + t_{0.025}\sqrt{s^2_p(1/n_1+1/n_2)})$$


만약, 위 신뢰구간의 right bound 가 delta 보다 작다면, left bound 도 자연스레 -delta 보다 클 것이다. (신뢰구간은 대칭적이기 때문에) 따라서 아래식을 가정했을 때, p-value가 0.05 보다 작음을 보이면 된다.


$$ If, \tilde X_1 - \tilde X_2 + t_{0.025}\sqrt{s^2_p(1/n_1+1/n_2)} < \delta $$

$$ P < 2P[X < -t_{0.025}] = 2P[X > t_{0.025}] = 0.05 $$


따라서 동등성 검정도 따로 통계량을 구하지 않고도, 신뢰구간을 통해 바로 검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임상 시험의 설계


앞선 포스팅에서 임상시험의 단계에 대해 다루었다. 임상 시험 단계에서 가장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제 3상에서는 임상시험 디자인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대상자의 수를 결정한 후, 디자인에 맞게 병원별 대상자를 모집하여 임상 시험을 실시한다. 실제로 임상 시험을 실시하는 과정은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들고 다기관이 참여하며 고려해야할 사항이 매우 많다. 본 포스팅에서는 그 중 임상 시험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설계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1. 평행 설계 (Parallel Design)

  • 평행 설계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임상시험이다. 연구대상자는 무작위 배정에 의해서 서로 다른 처리군으로 배정이 되며, 연구의 종료시까지 처음 배정된 군을 유지하며 진행된다. 평행 설계의 장점은 그 방법이 이해하기 쉽고 간단하다는 점이다. 하지만 두 그룹이 각각 서로 다른 집단이기 때문에 두 집단이 완벽하게 randomization 이 되어있지 않으면 bias 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혼란 변수의 보정, stratified randomization 등이 필요할 수 있다. 
  • 평행 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bias 를 줄이려는 목적으로 대응 평행 설계 (Matched pairs parallel design) 을 실시하기도 한다. 이 방법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2명의 참여자를 하나의 블록으로 하여 각각 대조약과 시험약을 처리하는 실험 디자인이다. 
  • 평행 설계에 의해 연구를 수행할 때, 준비기간 (run-in periods) 이 필요하다. 준비기간은 무작위 배정을 받기 전 다른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 기간으로 이전 치료의 효과를 없애는 휴약 기간 (Washout period) 이다. 

2. 교차 설계 (Crossover design)

  • 교차 설계는 한 연구대상자에게 처리, 대조 모두 각각 한 번 씩 두 번 적용하는 설계 방법이다. 연구 대상자는 처리 또는 대조군에 배정되어 결과를 평가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반대 처리를 받게 된다. 
  • 이 방법은 한 명의 연구 대상자에게 두 번 처리하여 직접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총 연구 대상자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또한 피험자간 변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검정력이 높아진다 -> 이로인해 또 특정 검정력 하에서의 연구 대상자의 수를 줄일 수 있다. 
  • 교차 설계에서 유의해야할 점은 연속적으로 두 처리를 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두 처리 간에 충분한 시간 (Washout period) 을 두고 진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다면 잔류효과에 의해 시험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 또한 교차 설계는 그만큼 연구 기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처리->결과 관찰의 시간이 짧은 약 또는 의료기기에 대해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기암 환자에게 처리약을 투여 후, 예후를 관찰하는 실험에 있어 중도 탈락의 우려가 크기 때문에 평행 설계가 더 나은 방법일 수 있다. 

교차설계가 가능한 임상 시험의 예 

  • 비교적 짧은 반감기를 갖고 예방적 목적의 약물을 이용한 시험
  • 휴약기간을 둘 수 있는 임상 시험 
  • 약물 효과를 치료 기간 중 충분히 볼 수 있는 약물 


교차설계는 세부적으로 기본 교차 설계 (2x2 교차설계)와 다차원적 교차설계 (high-order design) 으로 나눌 수 있다. 다차원적 설계는 단순히 A-B, B-A 두 순서로 대상자를 배정하는 것이 아니라 A-A, B-B 등으로도 배정하여 분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2x2 교차설계>


교차설계시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부분

  • 잔류 효과를 반드시 없애야 통계적 타당성이 높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period 2 에서 이전 약물의 효과가 남았는지를 verification 하는 과정이 있으면 좋다.)
  • 교차설계시 평행설계에 비해 결측의 영향이 크다. 결측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3. 요인 설계 (Factorial design)

  • 요인설계는 두 개 이상의 처리군의 조합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설계 방법이다. 조합의 효과는 교호작용 (interaction) 이라고 부른다. 

 

 약물 A 처리

 약물 A 미처리

 약물 B 처리

 A,B 모두 투여 (n)

 B 만 투여 (n)

 약물 B 미처리

 A만 투여 (n)

 A, B 모두 미투여 (n)


기본 2x2 요인 설계는 위처럼 대상자를 네 군으로 나누어 시험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평행 설계에서는 A만 투여한 군과 B 만투여한 군으로 배정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평행 설계에서는 새로운 약물 1개에 대해서만 검증할 수 있다. 하지만 요인 설계에서는 새로운 약물 2개에 대해 한 번에 검증할 수 있다는 점이 평행설계와 요인설계의 차이점이다. 또한 새로운 약물 2개의 대한 교호작용도 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상황에서는 요인설계가 평행설계에 비해 효율적일 것이다. 


요인설계의 장점
  • 한 시험으로 두 개의 약물의 치료 효과 파악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 피험자 수를 줄일 수 있다. 
  • 상호작용을 검정할 수 있다. 

요인설계가 평행설계에 비해 적절한 상황

  • 두 개 이상의 치료 효과를 한 번에 보고 싶을 때
  • 두 치료 효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할 때 


참고자료

식약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임상시험의 통계원칙이라는 public book 을 작성하였습니다. 이 책에 임상 시험에 사용되는 통계 관련하여 개괄적으로 참고할 부분이 많습니다. (https://asancpt.github.io/book-stat/design.html)

반응형
반응형

임상시험의 단계 정리 



1. 전임상 단계


임상시험을 실제로 시작하기 전에 가장 먼저 시작하는 단계로 연구실 내 안전성 시험 및 동물 실험, 선행 논문 조사 등이 이 단계에 포함된다. 한국의 경우, 전임상 단계를 거쳐 임상시험계획서 (Investigational New Drug, IND) 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하여 임상시험의 허가를 받아야한다. 


2. 제 1상 


목적 : 안정성 검증 및 최대 투약량 결정

  • 본격적인 임상시험의 단계이다. 소수의 건강한 참여자 (예를 들어, 20~80명) 를 대상으로 독성, 부작용 등의 중요한 반응만을 관찰한다. 제 1상의 한 가지 목적은 최대 허용량 (Maximum Tolerated Dose, MTD) 을 결정하는 것이다. MTD 를 결정하는 방법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점점 투약량을 높여가며 이상 반응 및 약물동력학적 검사를 통해 결정한다. 즉, 1상의 목적은 크게 안정성 검증 및 최대 투약량 결정이다. 


3. 제 2상 


목적 : 3상 진입 가능 여부 판단 (효율성 판단), 투약량 결정 

  • 특정 질환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효과를 처음 관측하는 단계이다. 건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한 1상과는 대상자의 구성이 다르다. 1상을 통해 새로 개발된 약이 안전한 건 알겠고,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해야하는 단계로 넘어가야하는데, 1상은 그 단계로 넘어갈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일종의 사전 검증이라 할 수 있다. 왜 바로 효과성 검증 단계로 넘어가지 않고, 사전 검증을 하냐면 다음 단계인 3상은 엄청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있기 때문이다. 2상은 3상을 넘어가기전 근거를 기반으로 넘어가도 될만한지 판단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3상에서 쓰일 투약 용량을 결정한다. 


2상-A 단계

  • 2상을 A, B 단계로 구분하기도 한다. 2상 A 단계는 투약 용량을 결정하도록 고안된 임상시험이다. 


2상-B 단계

  • 2상 B 단계는 효율성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임상시험이다. 


이렇게 A, B 단계로 세부적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이 구분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4. 3상 


목적 : 약 효과 확증

  • 3상은 확증 임상시험 (Confirmatory Clinical Trial) 이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약이 효과가 있는지를 확증하는 단계이다. 2상에서는 단지 3상으로 넘어갈만한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단계였다면, 3상은 실제로 이 약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증하는 단계로, 3상에서 효과가 확증되면 그 약은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3상은 임상시험에서 가장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3상에서만 수백억원 이상이 든다. 
  • 제약회사는 임상 시험을 디자인 하고, 2상의 결과, 법 등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정한 연구자가 원하는 차이의 정도 (델타), 유의수준(알파), 검정력(베타, 파워) 를 바탕으로 샘플 사이즈를 계산한다. 샘플 사이즈는 연구 디자인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5. 4상 

목적 : 장기간 투약시 약효, 부작용 평가
  • 3상 결과 해당 약이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증되면 4상으로 넘어간다. 4상은 시판 후 조사과정(Post-marketing Surveillance; PMS) 이라고도 부른다. 유통 과정에서 약의 효과와 부작용 등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기 위한 과정이다. 3상에서 보기 힘든 장기간 투약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모분산의 추정과 검정

 

어떤 공장에서 일정 크기의 볼트를 만든다고 해보자. 제조 공정에서 볼트의 지름이 일정해야 품질 기준을 만족할 수 있다. 볼트의 지름이 10mm 여야하는데, 평균적으로는 10mm 이지만, 분산이 존재해  불량품이 일정 부분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볼트 지름의 분산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모분산에 대한 추론을 할 수 있다. 

 

모분산의 추정에는 카이제곱 분포를 이용한다. 카이제곱분포는 표준정규분포에서 n개의 샘플을 뽑아서 그것들의 제곱을 모두 합한 것을 하나의 확률 변수 Q 로 정의하자. 카이제곱분포는 Q 가 따르는 분포이다. 카이제곱 분포는 하나의 모수 n 을 갖고, 이를 자유도라 한다.

 

$$ Q = \sum^{n}_{i=1} Z_i $$

$$ Q \sim \chi (n) $$

 

이 때,  아래와 같은 확률 변수를 정의하자. 

 

$$ X \sim N(\mu, \sigma^2) $$

 

모분산은 아래 통계량이 자유도가 n-1 인 통계량을 따른다는 것으로부터 추정된다. 

 

$$ \frac{(n-1)s^2}{\sigma^2} \sim \chi(n-1) $$

 

증명은 아래와 같다. 

 

$$ \sum^{n}_{i=1} \frac{(X_i - \mu)^2}{\sigma^2} = \frac{(n-1)s^2}{\sigma^2} + \frac{(\tilde X-\mu)^2}{\sigma^2/n} $$

$$ \sum^{n}_{i=1} \frac{(X_i - \mu)^2}{\sigma^2} \sim \chi(n) $$

$$ \frac{(\tilde X-\mu)^2}{\sigma^2/n} \sim \chi(1) $$

 

따라서 chi-square 분포의 additivity 에 의해 아래와 같다. 

 

$$ \frac{(n-1)s^2}{\sigma^2} \sim \chi(n-1) $$ 

 

한 가지 유의할점은 모집단 X 가 정규분포를 따라야 이러한 분포가 타당하다는 것이다. 

 

예제 

 

1) 공장에서 볼트의 분산이 1mm 보다 작아야 현재 생산 공정을 유지하기로 했다. n=100 개의 샘플을 고른 후, 표본 분산을 추정했을 때, 1.2mm 가 나왔다면, 모분산이 1mm 보다 크다고 볼 수 있는지 유의수준 0.05 하에서 검정하라  

 

검정 통계량은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 \frac{(99)1.2}{1} = 118.8 $$

$$ Q \sim \chi(99) $$

$$ P (Q > 111.8) = 0.085 $$

 

p-value 가 0.085로 0.05 보다 크므로 모분산이 1mm 보다 크다고 할 수 없다. 

 

2) 모분산의 95% 신뢰구간을 구하라

 

모분산의 신뢰구간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아래 신뢰구간은 통계량이 카이제곱 분포를 따른다는 사실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frac{(n-1)s^2}{\chi_{0.025}(n-1)}, \frac{(n-1)s^2}{\chi_{0.975}(n-1)}] $$

 

이 때, n=100, s^2 = 1.2, chi_0.975 = 73.36, chi_0.025 = 128.422 를 대입하면 신뢰구간은 아래와 같다.

 

[0.92, 1.61] 

 

이 신뢰구간은 양측 검정을 할 때에도 활용할 수 있다. 

 

참고

http://www.uniwise.co.kr/pdfupload/lecture_upload/R201500241/stlsm_30.pdf

반응형
반응형


두 모집단의 모비율의 차이에 대한 검정


앞선 포스트에서 중심극한정리에 의한 정규 근사를 통해 표본 비율의 분포를 구하고 검정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이번에는 두 모집단에 대해서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앞선 one sample 비율 검정과 다른점은 one sample 검정에서는 가설검정을 할 때, 귀무가설 하에서의 모비율을 검정 통계량 계산에 활용할 수 있었던 반면, two sample 비율 검정에서는 귀무가설이 두 모비율이 같다고 정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모비율이 정의되지 않아 모비율을 다른 방법을 통해 추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델 


각각 n_1, n_2 명 존재하는 집단 A, B 에서 어떤 법안에 찬성하는지 여부를 투표를 통해 결정하는 상황을 예로 들어보자. 집단 A, B 에서 사람의 찬성 여부를 각각 확률변수 X, Y 라 할 때 다음과 같이 모델링할 수 있다. 


$$ X \sim Be(p_1) $$

$$ Y \sim Be(p_2) $$ 

 

표본 비율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 \tilde p_1 = \frac{\sum^{n_1}_{i=1} X_i}{n_1} $$

$$ \tilde p_2 = \frac{\sum^{n_2}_{i=1} Y_i}{n_2}$$


표본비율은 베르누이 분포의 표본 평균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중심극한 정리에 의해 표본비율은 아래 분포로 근사된다. 


$$ \tilde p_1 \sim N(p_1, p_1(1-p_1)/n_1) $$

$$ \tilde p_2 \sim N(p_2, p_2(1-p_2)/n_2) $$


가설 검정


$$ H_0 : p_1 = p_2 $$

$$ H_1 : p_1 \ne p_2 $$


검정 통계량 


아래 분포를 통해 검정한다. 

$$ \tilde p_1 - \tilde p_2 \sim N(p_1 - p_2, p_1(1-p_1)/n_1 + p_2(1-p_2)/n_2)  $$


검정 통계량은 다음과 같다. 

$$ \frac{(\tilde p_2 - \tilde p_2) - (p_1-p_2)}{\sqrt{p_1(1-p_1)/n_1 + p_2(1-p_2)/n_2}} $$


이 때, p_1-p_2 는 귀무가설 하에서 0이 되는데, 분모의 p_1, p_2는 사라지지 않는다. 이 모비율을 추정하는 방법에 따라 검정통계량은 아래 2가지 정도로 계산해볼 수 있다. 


1. 표본비율을 통해 모비율을 추정 


$$ \frac{(\tilde p_1 - \tilde p_2)}{\sqrt{\tilde p_1(1-\tilde p_1)/n_1 + \tilde p_2(1-\tilde p_2)/n_2}} $$


2. 합동 비율을 추정 


$$ \tilde p = \frac{\sum^{n_1}_{i=1} X_i+ \sum^{n_2}_{i=1} Y_i}{n_1+n_2} $$

$$ \frac{(\tilde p_1 - \tilde p_2)}{\sqrt{\tilde p(1-\tilde p)/n_1 + \tilde p(1-\tilde p)/n_2}} = \frac{(\tilde p_1 - \tilde p_2)}{\sqrt{(1/n_1+1/n_2)\tilde p(1-\tilde p)}} $$


예제


문제: 실험 참여자 (암 환자) 에 대해 대조약 (기존약) 과 시험약을 투약하고, 12개월 간 관찰아혀 사망한 환자의 수를 관찰한다. 이 때, 처리집단이 대조집단에 비해 더 사망자가 적다는 것을 비율의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을 통해 확인해보자.  


 

 표본 크기 

사망자 환자 수 

 대조집단

 300  

50 

 처리집단

 200 

20  


$$ n_1 = 300, \tilde p_1 = 1/6 $$

$$ n_2 = 200, \tilde p_2 = 1/10 $$


검정 통계량은 아래와 같다. 


$$ \frac{(\tilde p_1 - \tilde p_2)}{\sqrt{\tilde p_1(1-\tilde p_1)/n_1 + \tilde p_2(1-\tilde p_2)/n_2}} $$

$$ \frac{(1/6 - 1/10)}{\sqrt{1/6(1-1/6)/300 + 1/10(1-1/10)/200}} =  0.0666/0.0302 = 2.205 $$

$$ P(Z > 2.205) = 0.013 $$ 


양측검정을 하기위해 곱하기 2를 해주면 p-value 가 0.026 으로 0.05 보다 작으므로 두 모비율은 다르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R 의 stat 패키지를 통해 구한 p-value 가 손으로 구한 값과 같은지를 확인해보자.


prop.test(n=c(300,200), x=c(50,20), correct=F)


correct option 은 R 의 기본옵션인 연속성 보정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prop.test(n=c(300,200), x=c(50,20), correct=F)


        2-sample test for equality of proportions without continuity

        correction


data:  c(50, 20) out of c(300, 200)

X-squared = 4.4297, df = 1, p-value = 0.03532

alternative hypothesis: two.sided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0.007445812 0.125887521

sample estimates:

   prop 1    prop 2

0.1666667 0.1000000


이 때, X-squared 값에 root 를 씌우면 Z-score 를 계산할 수 있다. Z-score는 4.4297에 sqrt를 하면, 2.104685 이다. 1. 표본비율을 통해 모비율을 추정 하는 방법을 통해 구한 Z-score 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합동 비율을 추정 방법을 통해 Z-score 를 구하면, Z-score 가 2.10468 로 R 의 결과와 같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6-1/10)/sqrt((1/300+1/200)*0.14*0.86) = 2.10468


R 에서는 합동 비율을 추정하는 방법을 통해 비율의 차이를 검정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두 정규분포 모양의 모집단의 모평균의 차이에 대한 검정: Two sample t-test 


예를 들어, 서울사람과 부산사람의 몸무게의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검정하고자 한다. 이럴 때 흔히 쓸 수 있는 방법이 바로 two sample t-test 방법이다.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여 차이가 유의한지를 보는 방법이다. 우선 언제 t-test 를 할 수 있는지 정리해보자.


t-test 는 연속형 확률 변수이고 평균이 mu 이고 표준편차가 sigma 인 분포를 갖는 모집단으로부터 n 개의 표본을 추출했을 때, n 이 크면 클 수록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표본 평균이 평균이 mu 이고, 표준편차가 sigma/root(n) 인 정규분포에 근사된다는 사실을 이용한 방법이다. 따라서 t-test 의 가정은 아래 두 가지로 요약된다. 


t-test 의 가정


1. 연속형 변수 

2. 정규성

3. 임의추출 

4. 큰 샘플 사이즈 


변수가 연속형이어야하고 임의추출을 해야한다는것은 당연해 보이지만, t-test 에서 왜 정규성을 따라야할까? 처음 t-test 를 배울 때, 많이 질문하는 부분이 't-test 는 샘플이 정규분포를 따라야하나요?' 이다. 결론은 '정규분포를 따르면 좋다.' 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표본 크기가 크면, 어쨌든 표본 평균의 분포는 정규분포에 근사되기 때문에 t-test 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평균이 대표성을 갖는가이다. 그리고 평균이 대표성을 갖기 위해서는 정규분포와 같은 모양이어야한다. 따라서 모평균을 비교하는 문제에 있어서, 모집단이 정규 분포와 비슷해야 타당한 것인데 모집단이 정규 분포임을 확인하는 방법은 샘플의 분포를 이용하는 길밖에 없다. 따라서 샘플의 정규성을 확인함으로써 평균이 대표성을 갖는지 확인해야한다. 만약 샘플이 정규성을 보이지 않는다면, t-test 의 타당성이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모집단의 분포가 이항분포나 포아송 분포처럼 특정 상황에서 정규분포로 근사된다면, t-test 의 결과는 타당할 것이다. 하지만 정규성을 띄지 않는 분포에서 왔다면, t-test 보다는 비모수 검정이 더 적합하다. 왜냐하면 평균이 대표성을 띄지 않기 때문이다. 


Two sample t-test 의 종류



More about the basic assumptions of t-test: normality and sample size, statistical round, 2019


위 그림은 mu1-mu2 의 분포를 H0가 참일때와 H1 이 참일 때로 나누어서 보여주는 그림이다. 1종 오류와 2종 오류의 개념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는 그림이다. two sample t-test 에 개념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보자. 두 집단의 모평균 (mu1, mu2) 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는 two-sample t-test 는 아래의 분포를 이용해 검정한다. 


$$ \tilde X - \tilde Y \sim N(\mu_1, \mu_2, \frac{s^2_1}{n_1} + \frac{s^2_2}{n_2}) $$ 


H0가 참일 때 (mu1-mu2=0) 검정 통계량은 표본 분산을 이용해 아래와 같은 분포를 갖는다.


$$ \frac{\tilde X - \tilde Y}{\sqrt{\frac{s^2_1}{n_1}+\frac{s^2_2}{n_2}}} ... 식 1 $$


위 검정 통계량이 특정한 자유도를 갖는 t 분포를 갖는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검정하는 것인데, t 분포의 자유도는 두 그룹의 분산에 대한 가정에 따라 다르기 계산된다.


1. 등분산 가정 (합동분산 추정량을 이용한 t-test)


합동분산추정량은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 s^2_p = \frac{n_1-1}{(n_1-1)+(n_2+1)}s^2_1 + \frac{n_2-1}{(n_1-1)+(n_2+1)}s^2_2 = \frac{(n_1-1)s^2_1 + (n_2-1)s^2_2}{n_1+n_2-2} $$ 


이 합동분산 추정량을 위 식1 의 s_1, s_2 대신에 넣으면 검정통계량을 계산할 수 있고, 이 검정통계량은 자유도가 n_1+n_2-2 인 t 분포를 따른다. 식 1을 합동 분산 추정량을 통해 쉽게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frac{\tilde X - \tilde Y}{\sqrt{s^2_p(\frac{1}{n_1}+\frac{1}{n_2})}} \sim t(n_1+n_2-2) $$


2. 등분산 가정을 하지 않을 때 (Welch's t-test)


등분산 가정을 하지 않으면 위 식1을 그대로 계산하면 된다. 다만, 자유도의 계산이 다소 복잡하다. 이 방법을 Welch's t-test 라 하는데 이 방법에 따라 자유도를 유도하는 것은 어려운 부분이므로, 단지 이렇게 계산한다는 것만 알고 넘어가도록 하자. Welch's t-test 에서 자유도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 v=\frac{(s^2_1/n_1 + s^2_2/n_2)^2}{\frac{(s^2_1/n_1)^2}{n_1-1} + \frac{(s^2_2/n_2)^2}{n_2-1}} $$


즉, Welch's t-test 는 다음의 분포를 통해 검정한다. 


$$ \frac{\tilde X - \tilde Y}{\sqrt{\frac{s^2_1}{n_1}+\frac{s^2_2}{n_2}}} \sim t(v) $$



1, 2 두 방법 모두 표본수가 많다면 정규근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t분포를 이용하지 않고 표본 수가 많을 때, 검정 통계량이 표준정규분포를 근사적으로 따른 다는 사실을 통해 검정한다. 

반응형
반응형

중심극한정리를 통한 표본 비율 분포 근사와 모비율의 검정


비율의 분포 


당신이 정책 담당자이고 전체 국민들 중 대상으로 새로운 교육 개혁에 대해 찬성하는 사람들의 비율을 알고 싶다고 해보자. 그리고 그 비율을 p 라고 할 때, p > 0.5 임을 보이고 싶다고 하자. 하지만 현실적으로 전체 국민에 대해 찬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전체 인구 집단에서 샘플링한 표본에서 구한 비율을 통해 위 가설 (p > 0.5) 을 보이고 싶다. 


예를 들어, 1000명을 조사해서 p=0.48 을 얻었다고 하자. 이 때, p > 0.5 라고 할 수 있을까? 이 표본에서는 p 가 0.5를 넘지 못했지만, 0.5 에 매우 근접했기 때문에 다른 1000 명을 조사하면 0.5가 넘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할 수 있을 법하다. 한 가지 방법은, 1000 명을 여러번 뽑아서 p가 0.5를 넘는 비율을 보는 것일 것이다. 예를 들어, 1000 명을 100번 뽑았는데, 95번이 p>0.5 일 경우, p > 0.5 라고 결론내려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1000 명을 100 번 뽑는 것도 마찬가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비율의 분포를 이용한다. 표본을 통해 비율의 분포를 구할 수 있다면 더욱 쉬운 방법을 통해 가설을 검정할 수 있을 것이다. 표본 안에서 뽑은 값이 분포 안에서 어디에 위치해 있는 가를 보는 것이다. 가설이 분포 흔히 관찰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가설이 맞는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가설이 틀린 것이다. 우선, 모집단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찬성 비율을 보는 것은 다음과 같이 모델링 해볼 수 있다. 모집단의 정책에 대한 찬반여부를 확률변수 X 라 할 때, 다음과 같은 베르누이 분포를 갖는다. 


$$ X \sim Be(P) $$ 


이 때, 1000의 크기를 갖는 표본 X1,...,X1000 이 존재하면, 찬성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tilde P = \frac{\sum_{i=1}^{i=1000}{X_i}}{n} $$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p^ 은 정규근사가 가능하다. 왜냐하면 p^ 은 베르누이 분포의 표본 평균이기 때문이다. 


$$\tilde P \sim N(P, \frac{p(1-p)}{n}) $$ 


비율의 검정


중심극한정리를 통해 p^ 의 분포는 구했는데, 이것을 통해 p > 0.5 인지 아닌지를 어떻게 검정할 수 있을까? 사실 좋은 방법은 앞서 언급했듯, 1000 명을 여러번 뽑아서 p가 0.5를 넘는 비율을 보는 것일 것이다. 이 경우 분포를 모르더라도 결론을 내려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통계적, 근사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검정의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1. 가설검정을 이용한 방법

2. 신뢰구간을 이용한 방법 


가설검정을 이용한 방법


가설검정을 이용한 방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귀무가설 및 대립가설의 설정 


양측 검정, 단측 검정 둘 중 하나를 선택해 수행한다. 


$$ H_0 = 0.5 $$

$$ H_1 > 0.5 $$ 


2. 검정 통계량 계산 


아래분포를 이용해 검정통계량을 계산

$$ \tilde P \sim N(0.5, \frac{0.5*0.5}{1000}) = N(0.5, 0.00025) $$ 


> x = seq(0.01, 1, 0.001)

> y = dnorm(x=seq(0.01, 1, 0.001), mean=0.5, sd=sqrt(0.00025))

> plot(x, y)


검정통계량은 아래와 같다. 


$$ \frac{0.48-0.5}{\sqrt{0.00025}} = -1.26 $$ 


3. 유의수준 설정 


일반적으로 5 %의 유의수준을 설정한다. 


4. 기각역 (또는 p-value) 계산 


검정통계량과 유의수준을 통해 기각역을 결정한다.


기각역은 아래와 같은 절차로 계산한다. 


$$ P(\tilde p > R) = 0.05 $$ 


위 식에서 R 이 기각역인데, R = 0.526 이다. 


>qnorm(p=0.95, mean=0.5, sd=sqrt(0.00025)) 

0.526


유의수준을 통한 기각여부 결정은 아래와 같이한다. 유의수준 계산에는 검정통계량을 이용한다.


> 1-pnorm(-1.26)

0.89

 

$$ P(X > -1.26) = 0.89 $$ 


5. 기각역 포함 여부를 통해 의사 결정을 수행한다. 


p-value 가 0.05 보다 큰 0.89 이고, 기각역 (X > 0.526) 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사실 두 개는 같은 정보이다.)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신뢰구간을 이용하는 방법


신뢰구간을 이용한 검정 방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신뢰구간을 이용한 방법은 양측 검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귀무가설 및 대립가설의 설정 


$$ H_0 = 0.5 $$

$$ H_1 != 0.5 $$ 


신뢰수준을 정하고 p 의 구간추정을 통해 신뢰구간을 구한다. 95%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tilde P \sim N(p, \frac{p(1-p)}{n}) $$ 

$$ P[\tilde p - 1.96* \sqrt{p(1-p)/n} < p < \tilde p+ 1.96 * \sqrt{p(1-p)/n}] = 0.95 $$

$$ (\tilde p - 1.96* \sqrt{p(1-p)/n}, \tilde p+ 1.96 * \sqrt{p(1-p)/n}) $$


위 식에서 n,p,sd 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신뢰구간을 얻을 수 있다. p 대신의 p의 추정량 p^을 넣는다. 


(0.469, 0.531)


따라서 p^ 은 0.48 이고, 위 구간에 들어가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모비율의 신뢰구간을 구할 때, 한가지 알아두면 좋은 테크닉은, p 에 표본 비율 p^을 대입하지 않고, 0.5를 대입하면 가장 보수적인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tilde p - 1.96* \sqrt{0.5(1-0.5)/n}, \tilde p+ 1.96 * \sqrt{0.5(1-0.5)/n}) $$


p를 0.5로 추정할 때, 신뢰구간의 길이가 가장 넓어지기 때문에 만약 표본 수가 충분한다면 신뢰구간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고, 표본수가 적어 표본비율의 변동이 큰 상황에서도 대략적인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응형